[G50산업지도(9)] 대만
본토에서 쪽겨 온 뒤 화교들 송금‧美 적극 지원
거품경제‧실업난‧인플레 없이 안정적 성장 지속
'가깝고도 먼 나라' 중국과 경협 기본협정 체결
[글로벌이코노믹=손정배 기자] 말레이계 원주민 국가였던 대만은 1624년 네덜란드 상인들에 의해 세상에 알려졌으며 1684년 중국의 청나라에 복속됐다가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의 식민지로 편입됐다. 중화민국시기 국‧공 내전으로 공산당의 탄압을 피해 당시 많은 지식인과 과학기술인력, 부유층들이 재산을 정리해 국민당을 따라 피난 오면서 지금의 대만이 시작됐다. 특히 당시의 중국의 부호들이 재산을 정리하여 대만으로 피난한 덕에 경제적 자본금에 여유가 있었고 공산당을 피해 해외로 떠나 전 세계 각지로 흩어진 화교들이 대만을 고국으로 여기고 해외에서 벌어들인 돈을 대만으로 송금했다. 대만의 성장을 도운 국가로는 다름 아닌 미국으로 민주주의 사상과 더불어 무기 수출을 통한 국방력 강화, 정치‧군사‧경제적 원조로 급속하게 경제가 성장했다.
1987년까지 평균 7~8%대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한 것과 1990년대 이후 규제개혁과 경제자유화를 선택하면서 더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주목할 점은 거품경제와 실업난, 장기간의 저성장, 높은 인플레이션과 같은 경제적 문제점이 드러나지 않고 경제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됐다는 것이다.

첫째, 대만의 2013년 GDP 구매력지수는 2012년 대비 198억 달러(약 20조800억원)가 증가한 9264억 달러(약 939조8300억원)로 세계 21위다. 실질성장률은 2012년 1.3%에서 2013년에 2.2%로 상승했으며 세계 138위에 머물고 있다. 외환보유고, 대외경제협력 등의 거시경제지표가 안정적인 수준처럼 보이지만 내수시장의 둔화, 노동공급률의 저하, 공공부채와 해외수입의 증가 등이 실질성장률에서 악영향을 미쳤다.
GDP는 가계소비(59.5%), 정부소비(12.2%), 고정자본 투자(19.4%), 재고 투자(0.3%)로 구성돼 있다. 가계소비의 경우 물가상승률이 1.0%대를 유지하고 있어 줄어들지는 않지만 너무 낮은 수치가 오히려 디플레이션에 가깝다는 의견이 많다.

수출입 주요 대상국은 중국, 홍콩, 미국이 1위에서 3위까지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의 경우 상위 3개국이 50%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50년대부터 지속적인 원조가 이루어져왔기 때문에 경제적‧군사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국가다.
셋째, 공공부채는 2013년 GDP의 38.9%로 2012년에 비해 3.1% 증가한 1885억 달러(약 191조2300억원)다. 현재 공공부채 적자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1998년 GDP의 24%에서 2014년 GDP의 40%를 넘어 12년 동안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예산은 2013년 782억4000만 달러(약 79조3700억원)가 집행됐으며 지출은 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