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환경문제 등 사회 이슈 놓고 진보진영과 다른 목소리

엘리자베스 켐프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WP에 “공화당원이 미국 기업의 이사진을 지배하고 있다는 것은 새로운 사실이 아니지만, 비슷한 정치 이념이나 성향을 지닌 사람들이 결집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 기업 임원들이 보수 성향을 보이면서 ‘워크(woke)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있다고 WP가 지적했다.
워크 자본주의는 미국 보수 진영이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진보적인 메시지를 내는 기업들의 경영 방식을 비판하면서 만든 신조어이다. 워크(woke)는 ‘깨어 있는’이라는 뜻으로 미국 보수 진영이 진보적 인사들의 ‘선민의식’을 조롱하려고 사용하는 표현이다.
미국의 일부 대기업 CEO(최고경영자)들은 진보 진영의 비판을 의식해 인종, 성 소수자, 환경 문제 등 사회적인 이슈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보수 진영은 그런 대기업과 CEO의 행태를 조롱하면서 ‘안티 워크(anti-woke)’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플로리다 주 의회 하원은 디즈니가 있는 플로리다주 리디크리크 특별지구를 1967년 특별지구로 지정된 이후 55년 만에 권한을 박탈하기로 했다. 상·하원을 모두 통과한 이 법안은 드샌티스 주지사의 서명을 거쳐 2023년 6월 효력을 발휘한다. 리디크리크 특별지구는 1960년대 중반 월트디즈니가 플로리다에 토지를 매입하면서 주 의회를 설득해 특별지구를 만들고 주 정부의 승인 없이 개발하거나 세금을 부과하는 등 준정부기관처럼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곳으로 디즈니의 자치권을 인정한 지역이다. 디즈니가 리디크리크 내 토지 3분의 2를 소유하고 있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지난달 24일 여성의 낙태를 헌법상 권리로 인정한 '로 대(對) 웨이드' 판결을 뒤집자 미국의 주요 기업들이 직원 또는 그 배우자의 낙태 시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MS), 골드만삭스, 엘프, 나이키, 넷플릭스, 청바지 업체 리바이 스트라우스, JP모건 체이스, 도이체방크, 애플, 월트디즈니, 아마존, 차량호출 업체 우버와 리프트,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플랫폼, 마스터카드, 스타벅스,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파타고니아 등이 낙태 원정 시술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50개 주 가운데 26개 주가 낙태를 금지할 것으로 보인다. 낙태를 금지한 주 정부와 의회, 낙태 반대 단체들이 기업들의 '원정 시술' 지원 행위에 반발하며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다. 낙태 금지 주들이 원정 시술 지원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는 형법을 제정하면 기업들은 형사 고발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 기업들이 사회적 이슈에 휘말려 들면서 ‘미지의 영역’으로 접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 이슈 개입 문제를 놓고 세대 갈등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이 신문이 전했다. 신세대 소비자는 기업과의 ‘가치 공유’를 중시하면서 기업이 사회적 이슈에 목소리를 낼 것을 요구한다. 구세대는 기업이 사회적 현안을 놓고 중립을 지켜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NBER 조사팀은 대기업 이사진에 공화당원이 대거 포진하면서 진보 성향의 이사들이 사퇴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 조사팀은 “기업 이사진이 정치적으로 한 팀으로 구성되면 주주들이 그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