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PPI 생산자물가 "무려 11.3%" 폭등

글로벌이코노믹

PPI 생산자물가 "무려 11.3%" 폭등

미국 연준 FOMC 한꺼번에 100bp 울트라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 움직임
미국 노동부 CPI 및  PPI 물가지수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노동부 CPI 및 PPI 물가지수
[속보] CPI 폭탄 이어 이번에는 또 PPI 생산자물가 폭등 뉴욕증시 비트코인 휘청

미국 뉴욕증시가 소비자물가 지수 폭탄으로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생산자물가 PPI 지수가 나왔다. CPI 소비자물가 지수와 생산자물가 PPI 지수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을 주븐 중대 지표이다. .

14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는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보다 1.1%, 전년 동월보다11.3% 올랐다고 밝혔다.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0여 년 만의 최대폭인 9.1% % 급등한 것으로 나온 상황에서 PPI마저 11%를 넘어서면서 연준 더 센 금리인상의 압박을 가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전망에 뉴욕증시에서는 나스닥 다우 주가지수선물이 떨어지고 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등 암호 가상화폐도 떨어지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에서는 당초 예고한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자이언트 스텝)보다 더 센 한꺼번에 100bp 울트라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 움직임도 관측되고 있다. .

미국 노동부 PPI 생산자물가지수 발표 전문
PRODUCER PRICE INDEXES - JUNE 2022

The Producer Price Index for final demand increased 1.1 percent in June, seasonally adjusted, the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reported today. This rise followed advances of 0.9 percent in

May and 0.4 percent in April. (See table A.) On an unadjusted basis, final demand prices moved

up 11.3 percent for the 12 months ended in June, the largest increase since a record 11.6-percent

jump in March 2022.

In June, three-fourths of the advance in the index for final demand was due to a 2.4-percent rise

in prices for final demand goods. The index for final demand services increased 0.4 percent.

Prices for final demand less foods, energy, and trade services moved up 0.3 percent in June after

advancing 0.4 percent in both May and April. For the 12 months ended in June, the index for

final demand less foods, energy, and trade services rose 6.4 percent.

Final Demand

Final demand goods: The index for final demand goods moved up 2.4 percent in June, the sixth

consecutive rise. Nearly 90 percent of the June increase can be traced to a 10.0-percent jump in

prices for final demand energy. The indexes for final demand goods less foods and energy and for

final demand foods advanced 0.5 percent and 0.1 percent, respectively.

Product detail: Over half of the June increase in the index for final demand goods is attributable to

gasoline prices, which jumped 18.5 percent. The indexes for diesel fuel, electric power, residential

natural gas, motor vehicles and equipment, and processed young chickens also moved higher. In

contrast, prices for chicken eggs dropped 30.2 percent. The indexes for iron and steel scrap and for

jet fuel also decreased. (See table 2.)

Final demand services: The index for final demand services rose 0.4 percent in June after climbing

0.6 percent in May. Two-thirds of the broad-based advance in June can be traced to a 0.8-percent

increase in margins for final demand trade services. (Trade indexes measure changes in margins

received by wholesalers and retailers.) Prices for final demand services less trade, transportation, and

warehousing and for final demand transportation and warehousing services also moved higher, 0.1

percent and 0.8 percent, respectively.

Product detail: Over 30 percent of the June advance in the index for final demand services can be

traced to margins for food and alcohol retailing, which rose 3.8 percent. The indexes for machinery

and equipment wholesaling, outpatient care (partial), transportation of passengers (partial),

guestroom rental, and hospital inpatient care also increased. Conversely, prices for portfolio

management declined 2.7 percent. The indexes for automobile retailing (partial) and for long-

distance motor carrying also moved lower.

앞서 미국 노동부는 6월14일(현지시간)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보다 0.8%, 전년 동월보다 10.8% 각각 올랐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던 지난 3월(11.5%)보다. 4월(10.9%)보다는 연간 상승률이 살짝 내려갔으나 최고치에 가까운 높은 수준이다. 6월 PPI 11.3%는 3월의 11.5%에 이어 두번째로 높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0여 년 만의 최대폭인 9.1% % 급등한 것으로 나온 상황에서 PPI마저 11%를 넘어서면서 연준 더 센 금리인상의 압박을 가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전망에 뉴욕증시에선느 나스닥 다우 주가지수선물이 떨어지고 있다. 뉴욕증시에서는 당초 예고한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자이언트 스텝)보다 더 센 한꺼번에 100bp 울트라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 움직임도 관측되고 있다. 글로벌 식량·에너지 공급난을 꼬이게 만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료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다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억제를 위한 주요 도시 재봉쇄에 들어간 것도 연준 결정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표면적인 주요인이라면 생산자물가지수(PPI)는 CPI에 앞서 물가 방향성을 선제적으로 반영한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