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은행 'GDP 나우(now)' 모델… 트럼프 관세폭탄+ PCE 물가+ 젤렌스키 폭탄

2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나우(now)' 모델이 올해 1분기 미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으로 변했다. GDP 나우는 올 분기 성장률을 전기대비 연율 환산 기준 -1.5%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19일 2.3%에서 3.8%포인트나 하향된 수치이다. 애틀랜타 연은은 이날 앞서 발표된 미국의 1월 개인소비지출(PCE) 등 최신 경제지표를 결과, 1분기 실질 개인소비지출(PCE) 증가율이 종전 2.3%에서 1.3%로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순수출의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는 -0.41%포인트에서 -3.70%포인트로 대폭 하향됐다.
미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은 2022년 1분기(-1.0%)가 마지막이었다. 민간 전문가들의 전망을 수집한 '블루칩 컨센서스'는 1분기 성장률이 대체로 1% 후반대에서 2% 중반대 사이에 분포해 있다. 1분기가 끝나려면 아직 한 달이 남았다는 점에서 GDP 나우의 추정치는 향후 변동될 가능성이 열려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4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잠정치)이 2.3%(직전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미국은 한국과 달리 직전 분기 대비 성장률(계절조정)을 연간 성장률로 환산해서 GDP 통계를 발표한다. 2024년 연간 성장률은 속보치 발표 때와 동일하게 2.8%로 집계됐다. 잠정치는 속보치 추계 때는 빠졌던 경제활동 지표를 반영해 산출한다. 미국 경제 수요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민간지출(국내 민간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 증가율은 속보치의 3.2%에서 3.0%로 하향 조정됐다.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작년 4분기 2.4%로 속보치(2.3%) 대비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식료품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속보치의 2.5%에서 2.7%로 0.2%포인트 상향됐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