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위협 속, 베트남 발빠른 대응 나서
에너지, 광물 분야 협력 강화 통해 무역 관계 다변화 추진
에너지, 광물 분야 협력 강화 통해 무역 관계 다변화 추진

응우옌 홍 디엔 베트남 통상부 장관은 미국의 무역 적자 해소를 위한 상호 관세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무역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다. 베트남 국영 페트로베트남 파워는 성명을 통해 미국 그룹들과 미국산 원유 및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페트로베트남 파워는 가스 화력 발전소용 GE 장비 구매를 위해 GE 베르노바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41억 5천만 달러에 달하지만, 로이터 통신은 이 수치를 독립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고 보도했다.
이 외에도 페트로베트남 가스와 코노코필립스 및 엑셀러레이트 간의 거래, 베트남 정유업체 빈손과 켈로그 브라운 앤 루트 간의 거래가 성사되었다. 또한, 베트남의 연료 거래업체 페트로리멕스와 미국 곡물위원회, 재생연료협회, 그로스 에너지 간의 협정과 마산그룹과 미국 국제개발금융공사 간의 광물 가공 협력 협정도 체결되었다.
로이터 통신의 분석에 따르면, 아시아 국가 중 베트남, 대만, 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미 수출 비율이 높아 미국의 관세 인상 가능성에 가장 크게 노출되어 있다.
베트남은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에너지 및 광물 분야에서 미국의 협력을 강화하고, 무역 관계를 다변화함으로써 미국의 관세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베트남은 미국산 원유 및 LNG 수입 확대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GE와의 협력을 통해 에너지 인프라 현대화를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계약은 베트남과 미국 간의 경제 협력 관계를 한층 더 심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현실화될 경우 베트남이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