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압박에도 연준 인사들 ‘9월 전 금리인하’ 신중론 뉴욕증시 국채금리 달러환율 "무디스 2차 경고"
연준 FOMC "금리인하 잠정 중단" 뉴욕증시 국채금리 달러환율 "무디스 신용등급 2차 경고" 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국가신용등급 강등 여파 속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사들이 기준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 불가론을 펼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연준은 적어도 9월 이전까지는 현행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를 시장에 보내고 있다.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모기지은행협회(MBA) 콘퍼런스에서 “6월이나 7월에 미국 경제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단정하기 어렵다”며 데이터를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경제에 대한 이해가 더 필요한 시점이라며 달러화 자산에 대한 우려가 일부 있으나 외국 자금의 미 국채 유입에는 주요한 변화가 없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 국채 수익률 상승에도 “미 국채 시장은 매우 잘 작동하고 있다”며 핵심 채권 시장의 안정성을 평가했다.
이어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이 “매우 양호하다”고 진단하며 현재 연준의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는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매우 적절하게 설정돼 있다”고 말했다.
연준은 작년 12월 기준금리를 4.25~4.50%로 인하한 뒤 현재까지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향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는 6월, 7월, 9월, 10월, 12월에 예정돼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도 6월 금리 동결 가능성은 91.4%, 7월은 66.9%로 전망되며,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29.7%로 낮게 점쳐지고 있다. 연간 금리 인하 횟수 전망도 기존 4회에서 2회로 축소되는 분위기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역시 CNBC·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금리 동결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가능성을 함께 고려할 때 “올해 단 한 차례의 인하가 바람직하다”고 밝혔으며 무역 협상 속도와 신용등급 하향의 영향을 고려해 “3~6개월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무디스는 지난 16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1’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한 바 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역시 더 많은 정보를 확보하기 전까지는 정책 결정을 유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도 한 행사에서 “현재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정책 변화의 여파를 관망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신용등급 강등도 물가 안정과 고용 달성이라는 연준의 핵심 목표와 관련해 평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치적 요소는 평가 대상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의 신중한 태도에도 연일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3일에도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연준은 유럽과 중국처럼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달러 환율은 20일 미국과 일본의 환율 논의 가능성에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일보다 5.4원 내린 1,392.4원이다.
환율은 7.8원 하락한 1,390.0원으로 출발해 1,389.1∼1,396.9원 사이에서 등락했다.
달러는 이날 미국과 일본의 환율 논의 가능성에 약세를 나타냈다.
교도통신 보도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은 20∼22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회의 기간 만나 환율을 주제로 회담할 예정이다.
앞서 이들은 지난달 미국 워싱턴DC에서 만나 약 50분간 회담한 바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44% 내린 100.240 수준이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63.77원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63.37원보다 0.40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0.44% 내린 144.46엔이다.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에서 한 단계 강등한 후 첫 거래일인 19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강보합으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7.33포인트(0.32%) 오른 42,792.07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22포인트(0.09%) 오른 5,963.6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36포인트(0.02%) 상승한 19,215.46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앞서 무디스는 지난 주 금요일인 16일 뉴욕증시 정규장 마감 후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강등했다.
무디스는 미국의 정부 부채가 재정적자 누적으로 급격히 증가해온 가운데 부채에 대한 이자지급 부담이 커지면서 향후 정부 예산의 유연성이 제한될 것이란 점을 강등 배경으로 들었다.
뉴욕증시는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 여파에 따른 위험회피 심리로 이날 약세로 출발했으나 장중 낙폭을 좁힌 뒤 상승 반전해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이날 상승으로 6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전날 NBC 뉴스 인터뷰에서 무디스 강등 결정에 대해 "후행 지표"라며 "무디스를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고 평가절하했다.
최근 회장 사임과 실적 부담으로 연초 대비 낙폭이 47%에 달했던 미국 최대 건강보험사인 유나이티드헬스는 16일 6.4% 상승한 데 이어 이날 8.21% 급등하며 반등세를 이어갔다.
미국 정규장 개장 전까지 상승세를 보였던 미 장기 국채 수익률은 이날 장중 상승 폭을 반납하고 무디스의 강등 이전 금리 수준으로 복귀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91%로 직전 거래일(16일) 마감가 대비 1bp(1bp=0.01%포인트) 올랐다.
글로벌 채권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 역시 같은 시간 4.45%로 직전 거래일 대비 1bp 올랐다.
30년물 미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8시 30분께 5.03%로 고점을 높였고, 10년물 금리 역시 한때 4.5% 선을 웃돌면서 한때 '셀 아메리카'가 재점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그러나 미 국채 금리는 이날 장중 내내 하락 흐름을 지속하면서 결국 무디스의 강등 결정이 없던 것과 마찬가지로 됐다.
스파르탄 캐피털증권의 피터 카딜로 이코노미스트는 "무디스의 강등 조치는 사실상 상징적인 의미가 더 컸다"며 "전반적으로 시장은 무디스 발표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20일 강세 출발했던 코스피가 장중 약보합으로 전환해 2,600대에서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1.62포인트(0.06%) 내린 2,601.80으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19.26포인트(0.74%) 오른 2,622.68로 출발했지만 상승세가 빠르게 약해졌다.
한때 2,600선을 내주기도 했으나, 이내 다시 올라서며 2,600선에서 지수 하단을 형성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1천143억원 순매도하며 이틀 연속 매도 우위를 보였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204억원, 609억원 순매수했다.
코스피200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천16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
이날 오후 3시 30분 현재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장보다 5.4원 내린 1,392.4원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스피가 (반등을 위한) 모멘텀이 부재한 가운데 눈치보기 장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삼성전자[005930](0.18%)와 SK하이닉스[000660](1.30%) 등 대표 반도체주는 강세를 보였으나 장 초반보다 상승 폭을 줄였다.
KB금융[105560](1.37%), 신한지주[055550](3.26%), 하나금융지주[086790](1.81%) 등 금융주도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4.12% 내린 27만9천500원으로 마감, 역대 최저가를 경신했다. 포스코퓨처엠[003670](-6.35%), 삼성SDI[006400](-4.66%), LG화학[051910](-3.12%), 에코프로머티[450080](-4.31%) 등 다른 이차전지주도 줄줄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현대차[005380](-0.79%),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2.86%), HD현대중공업[329180](-6.26%) 등이 내렸다.
LS ELECTRIC[010120](8.14%), 가온전선[000500](11.42%), HD현대일렉트릭[267260](7.42%) 등 전력기기 관련 종목이 큰 폭으로 올랐다.
대표 원전주인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7.51% 올라 52주 최고가를 경신, 코스피 시가총액(우선주 제외) 상위 13위로 올라섰다.
업종별로 보면 기계·장비(3.20%), 전기·가스(2.67%), 종이·목재(2.48%) 등은 올랐고, 운송장비(-1.70%), 화학(-1.65%), 운송·창고(-1.43%)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80포인트(0.25%) 오른 715.55로 거래를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5.61포인트(0.79%) 오른 719.36으로 출발, 한때 1.2% 가까이 올랐으나 장중 상승 폭을 줄였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29억원, 581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739억원 순매도했다.
에코프로비엠[247540](-5.76%), 에코프로[086520](-6.58%) 등 이차전지주가 약세를 보였다.
펩트론[087010](3.31%), 파마리서치[214450](4.14%), 리가켐바이오[141080](7.5%) 등이 상승했고 HLB[028300](-1.12%), 클래시스[214150](-3.17%), 삼천당제약[000250](-6.03%) 등은 하락했다.
이날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7조5천660억원, 6조9천353억원이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프리·정규마켓의 총 거래대금은 4조1천554억원으로 집계됐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을 계기로 가상자산 가격이 랠리를 이어가면서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100조원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17개 거래소와 8개 보관·지갑업자 등 25개 가상자산사업자를 조사한 '2024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작년 하반기 트럼프 정부의 친 가상자산 정책 기대감으로 가상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시장규모가 확대하면서 작년 말 시가총액은 107조7천억원으로 같은 해 6월말(56조5천억원) 대비 91% 늘었다.
미국 신용등급 강등으로 뉴욕증시에는 "무디스 블랙먼데이 발작" 공포가 엄습하고 있는 가운데 선물거래에서 발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뉴욕증시는 물론이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등 가상 암호화폐와 국채금리 달러환율 국제유가등도 "대폭락 붕괴 우려"속에 초긴장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월가에서는 무디스의 이번 결정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출렁였던 미국 자산시장에서 '셀 아메리카' 움직임이 재점화할지 주시하고 있다.
◇ 뉴욕증시 주요 일정 및 연설
- 5월 12일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방준비제도 이사 연설
- 5월 13일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 5월 14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연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 연설
- 5월 15일
5월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4월 미국 소매판매
4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4월 미국 산업생산
5월 NAHB 미국 주택시장지수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마이클 바 연준 이사 연설
- 5월 16일
4월 미국 신규 주택 착공
4월 미국 수입물가지수
5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