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2030년 세계 최대 원자력 발전국 도약 목표...10기 신규 원자로 승인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2030년 세계 최대 원자력 발전국 도약 목표...10기 신규 원자로 승인

277억 달러 투자로 원전 12,000MW 증설...미국·프랑스 추월 전략
탄소중립·대기오염 저감·에너지 안보 강화 위한 적극적 원전 확대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의 팡청강 원자력 발전소의 Hualong One 원자력 발전소 위에 돔이 설치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의 팡청강 원자력 발전소의 Hualong One 원자력 발전소 위에 돔이 설치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이 2000억 위안(약 277억 달러)을 투자해 10기의 원자로 건설 계획을 승인하며 203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에서 미국을 넘어 세계 최대 원전 강국이 되겠다는 목표를 향해 큰 걸음을 내디뎠다고 16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지난달 국무원 집행회의에서 승인된 이번 원자로 건설 계획에는 중국국가원자력공사(CNNC)와 중국일반원자력그룹(CGN)이 독자 개발한 3세대 '화룽원(Hualong One)' 원자로 8기와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개발한 AP1000 가압수로(PWR)를 기반으로 한 CAP1000 원자로 2기가 포함됐다. 이들 원자로의 총 발전 용량은 약 12,000메가와트(MW)에 달할 전망이다.

신규 원자로들은 산둥성, 저장성, 푸젠성, 광둥성, 광시좡족자치구 등 중국 해안 지역을 따라 건설될 예정이며, CNNC와 CGN 외에도 국영 전력 회사인 스테이트파워인베스트먼트(SPIC)와 차이나화넝그룹 등이 운영을 담당할 계획이다.

중국 정부는 1980년대부터 프랑스 등 해외 기술을 활용해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추진해왔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안전 조치가 강화되면서 신규 허가가 중단됐으나, 2019년부터 승인이 재개됐고 2022년부터는 연간 약 10기 규모로 속도가 크게 빨라졌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대기 오염 저감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원자력 발전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원유 소비의 약 70%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에너지 안보에 취약하다는 판단 아래,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2020년 시 주석이 2030년 이전에 이산화탄소 배출량 정점 도달, 206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것도 원전 확대의 배경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 산하 원자력 산업 그룹의 4월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 현재 중국에는 57기의 원자로가 가동 중이며 총 발전 용량은 59,760MW로, 미국과 프랑스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다. 보고서는 2030년 중국 원자력 발전 용량이 110,000MW에 달해 현재의 건설 속도가 유지된다면 미국과 프랑스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4년 기준 중국의 전력 구성에서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4.7%에 불과하지만, 보고서는 2040년까지 이 비중이 10%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중국 전력 생산의 67.4%는 여전히 석탄 등 화석 연료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의 원전 확대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미국과 유럽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이 정체 상태에 있다. 미국에서는 대형 원전의 건설 비용이 급증하면서 신규 건설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조지아주에 건설된 원전은 웨스팅하우스의 파산으로 이어져 모회사인 도시바에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 유럽에서도 건설 비용 상승으로 신규 원전 건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중국은 국영 기업들이 연속적으로 원전을 건설함으로써 기술 숙련도를 높이고 비용 증가를 억제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과 표준화된 설계, 대규모 연속 건설을 통해 원전 건설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원전 확대 전략이 에너지 안보 강화, 대기 오염 감소,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국내 기술로 개발한 화룽원 원자로의 수출을 통해 원자력 기술 분야에서의 글로벌 영향력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