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무역합의 임박”…백악관 “일부 국가는 관세 유예될 수도”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무역합의 임박”…백악관 “일부 국가는 관세 유예될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각) 뉴저지주 모리스타운공항에서 워싱턴DC로 향하는 전용기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각) 뉴저지주 모리스타운공항에서 워싱턴DC로 향하는 전용기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국가들과의 무역 합의가 임박했다고 밝힌 가운데 백악관은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협상 진행 상황에 따라 관세 부과 시점을 연기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고 로이터통신과 ABC뉴스가 7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뉴저지주 모리스타운에서 워싱턴DC로 향하는 전용기 탑승 직전 기자들과 만나 “며칠 안에 여러 무역 협정이 마무리될 것”이라며 “관세율을 높이겠다는 통지를 9일까지 보낼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 4월 대부분 국가에 대해 10% 기본 관세와 최대 50%까지의 추가 관세 방안을 발표했으나 적용 시점을 7월 9일까지 유예한 상태다. 이번 발언은 사실상 3주간의 마지막 유예 기간을 부여한 셈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도 “관세는 8월 1일부터 발효되며 대통령이 최종 관세율과 거래 조건을 결정 중”이라고 설명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역시 CNN 인터뷰에서 “유럽연합은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며칠 안에 주요 발표가 나올 수 있다”며 “미국과 거래 규모가 크지 않은 100개 국가에는 이미 4월 2일 설정됐던 관세 수준으로 되돌아간다는 내용의 서한을 발송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은 ABC뉴스에 출연한 자리에서 “합의에 가까워졌지만 시간 부족으로 마무리되지 못한 경우 관세 적용 시점을 연기할 수 있다”며 “선의로 협상 중인 국가들은 날짜가 연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유럽과 인도에 대해서는 “좋은 소식을 듣고 있다”고 언급하면서도 한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미란 위원장은 “양보를 하지 않거나 협상에 진지하게 임하지 않는 국가는 높은 관세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미국 시장 접근을 계속 보장받으려면 그에 상응하는 행동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같은 방송에 출연한 래리 서머스 전 재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및 예산안에 대해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사회안전망 축소”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예일대 산하 예산연구소 추산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이 조치로 10만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또 “정부 부채가 늘면 민간 투자가 줄어 경제 생산성이 떨어지고 성장률 역시 낮아질 수밖에 없다”며 “경제 성장이 재정적자를 줄인다는 주장은 비현실적인 낙관론”이라고 비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