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속보] 美·EU, 스코틀랜드서 15% 관세 합의…무역전쟁 일단 피했다

글로벌이코노믹

[속보] 美·EU, 스코틀랜드서 15% 관세 합의…무역전쟁 일단 피했다

트럼프 "EU 6000억달러 투자 유치" 주장…철강·알루미늄 관세는 50% 유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27일(현지시각)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27일(현지시각)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27일(이하 현지시각)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전격 회동해 수입품에 대한 15%의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협정 틀에 합의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로이터는 이번 조치로 양측 간 전면적인 무역전쟁이 일단락됐다고 전했다.

이번 합의는 지난 12일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30% 관세 부과 방침을 절반 수준으로 낮추는 대신, EU가 미국에 약 6000억 달러(약 865조 원)의 투자와 에너지·방위 장비 구매 확대를 약속하는 형태로 이뤄졌다.

◇ 트럼프 “역대 최대 규모”…EU “최선의 결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고급 골프장인 턴베리 리조트에서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번 합의는 역대 최대 규모의 무역협정”이라며 “앞으로 몇 년간 EU는 미국산 에너지 7500억 달러어치(약 1081조 원)를 구매하고 방위 장비도 수백억 달러어치 더 사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폰데어라이엔 EU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터프한 협상가”라고 표현하며 “이번 관세는 전 품목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최선의 결과”라고 밝혔다.

양측이 발표한 관세는 자동차, 제약, 반도체를 비롯한 주요 품목 전반에 적용되며 항공기와 부품, 특정 화학제품, 일부 농산물, 핵심 원자재 등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트럼프는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품목에 15%의 관세를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제약품에 대해서는 포함 여부를 명확히 하지 않아 일부 조항은 향후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독일 “수출 위기 피했다”…EU 내부선 비판 목소리도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이번 합의에 대해 “독일의 수출 중심 경제와 자동차 산업에 큰 위기가 될 수 있었던 무역갈등을 막은 결과”라고 평가했다. 현재 독일 완성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은 미국이 이미 부과한 27.5%의 자동차·부품 관세로 큰 타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독일 사회민주당 소속의 베른트 랑게 유럽의회 무역위원장은 “관세 구조가 여전히 불균형하고 미국에 대한 EU의 투자 확대는 결국 EU 내부 경제를 침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EU는 당초 무관세 협정을 기대했지만 이번 합의로 인해 일정 수준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번 조치가 지난주 일본과 체결한 미·일 무역 합의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최소한의 안정성을 제공한다는 평가도 있다.

◇ 철강·알루미늄 관세는 그대로…향후 협상 과제


미국은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기존의 50% 관세를 유지하되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이 관세는 향후 쿼터제(수입 물량 제한)로 대체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합의에는 위스키 등 양측 민감 품목에 대한 관세는 포함되지 않았으며 향후 추가 논의가 예정돼 있다.

미국의 상품 무역 적자는 지난해 기준 EU와의 거래에서만 2350억 달러(약 338조 원)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부터 “EU는 미국을 희생시켜 형성된 체제”라고 비판해왔고 이번 관세 수입으로 “수천억 달러의 국고 수입을 확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로이터는 “이번 합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목표로 했던 ‘90일 동안 90개 협정 체결’ 구상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라면서 “그러나 전문가들은 구체적인 법적 합의가 아닌 정치적 틀 수준이라는 점을 들어 이행 과정에서 해석 차이가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