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미시간 주지사, 트럼프에게 “자동차산업 위해 관세 재검토” 요청

글로벌이코노믹

美 미시간 주지사, 트럼프에게 “자동차산업 위해 관세 재검토” 요청

지난 4월 29일(현지시각) 그레첸 휘트머 미국 미시간 주지사(왼쪽)가 미시간주 해리슨타운십 셀프리지 공군주방위군 기지에서 열린 행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4월 29일(현지시각) 그레첸 휘트머 미국 미시간 주지사(왼쪽)가 미시간주 해리슨타운십 셀프리지 공군주방위군 기지에서 열린 행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그레첸 휘트머 미국 미시간 주지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자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려면 고율 관세 정책의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공개 석상 밖에서 직접 요청해 관련 업계의 시선을 끌고 있다.

10일(이하 현지시각) AP통신에 따르면 휘트머 주지사는 지난 5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비공개 회동을 갖고 자동차 부품과 철강·알루미늄에 부과된 고율 관세가 미시간주의 제조업과 일자리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슬라이드 자료를 통해 관세로 인한 경제 피해 규모와 자동차 산업의 중요성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며 캐나다·멕시코와의 교역으로 2020년 이후 미시간에 232억 달러(약 32조 원)의 투자가 유입됐다고 트럼프에게 설명했다.

◇ 미국 자동차 산업의 ‘심장’ 미시간

미시간주는 ‘모터 시티’로 불리는 디트로이트를 중심으로 미국 자동차 산업의 탄생과 성장을 이끈 지역으로 GM, 포드, 크라이슬러(현 스텔란티스) 등 3대 완성차 업체 본사가 모두 이곳에 뿌리를 두고 있다.

완성차 조립공장과 부품업체, 연구개발(R&D) 시설이 밀집해 있으며 자동차 제조와 관련된 직접·간접 고용 규모는 수십만명에 달한다. 이같은 산업 구조 때문에 미시간 경제는 자동차 산업의 경기 변동에 크게 좌우돼 왔다.

◇ 자동차 산업 핵심주 미시간의 위기


휘트머 주지사는 미시간의 자동차 제조업과 부품 공급망이 6000여개 사업장에서 약 60만명의 제조업 일자리를 지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미시간에는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완성차 업체의 50개 공장과 4000개 이상의 부품 공급 시설이 운영 중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발동한 행정명령과 무역 협정에 따라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철강·알루미늄에 50%, 중국산 부품에 30%, 캐나다·멕시코산 일부 제품에 최대 25%의 관세를 부담하게 됐다. 반면 독일, 일본, 한국산 차량에는 지난달 새로 체결된 협정에 따라 15% 관세만 적용된다.

포드와 GM은 2분기에 각각 8억 달러(약 1조1000억 원), 11억 달러(약 1조5000억 원)의 관세 관련 비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관세가 약 20억 달러(약 2조7000억 원)의 순부담이 될 것”이라며 “미국 자동차 노동자와 소비자가 불리해지지 않도록 정책 변화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고율 관세, 고용·투자 위축 우려


미시간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말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경합주다. 그러나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재임 후 미시간의 제조업 일자리는 7500개 줄었다. 중소 부품업체들도 타격을 받고 있으며 디트로이트 액슬은 창고 폐쇄와 100여명 해고를 검토했다가 간신히 운영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휘트머 주지사는 이번 회동에서 연방정부의 폭설 피해 복구 지원과 메디케이드 변경 연기 문제도 함께 논의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약속을 내놓지 않았다.

매트 그로스먼 미시간주립대 정치학 교수는 “자동차 산업은 상징성과 경제적 영향력 모두에서 미시간 유권자들의 표심에 결정적 요인”이라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