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각국이 유학생 유치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유럽 대학들도 동남아시아 학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독일 공영방송 도이체벨레(DW)가 1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재정난과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해 고숙련 이민자 유입이 필요한 상황에서 동남아 시장이 새로운 표적으로 부상한 것으로 분석됐다.
DW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외국인 유학생 상한을 9% 늘려 29만5000명으로 확대하고 동남아 지원자를 우선 심사하기로 했다. 일본은 2033년까지 외국인 유학생을 40만명으로, 한국은 2027년까지 30만명으로 늘리는 목표를 세웠다. 대만도 지난해부터 매년 2만5000명의 동남아 유학생 유치를 발표했다.
국제교육 컨설팅사 애큐멘이 지난 2023년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약 13만2000명의 유학생을 해외에 보내 동남아 전체의 40%를 차지했고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각각 5만명 이상, 태국은 약 3만2000명을 해외로 보냈다.
◇ 재정난 속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절박
유럽연합(EU) 내 166만명의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동남아 비중은 아직 적다. 독일 학술교류처(DAAD)에 따르면 독일의 베트남인 학부생은 약 7060명 수준이다.
알프레드 거르스틀 중앙유럽아시아연구소 연구원은 “동남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유럽 학계에서 지역 연구와 유치 전략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유럽 대학들은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 영국 고등교육감독기구는 올해 영국 대학의 40%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고 독일은 예산 삭감으로 DAAD 장학금 2500개를 줄였다. 프랑스는 2025년 교육·연구 예산을 전년보다 10억 유로(약 1조5600억 원) 감축했다. 유럽대학연맹 보고서는 외국인(비EU) 유학생이 등록금을 통해 대학 수입을 늘리는 핵심 수단이라고 지적했다.
◇ 美 유학생 정책 변화도 기회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동남아 학생 지원 활동을 해온 크리스티나 키론스카 체코 팔라츠키대 연구원은 “비자·장기체류 서류 절차를 간소화하고 박사과정 교류·장학금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르웨이는 7월 외국인 유학생 등록금 인상으로 감소했던 입학을 회복하기 위해 노르웨이어 요건 완화와 취업 경로 확대를 단행했다.
DW는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복귀한 뒤 학술 지원과 유학생 비자를 축소하면서 미국 유학 환경이 악화돼 유럽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풀브라이트 장학금 축소, 주요 대학 예산 감액, 수만 건의 외국인 학생 비자 취소 등을 단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