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후 회사채와 지방채를 포함해 1억 달러(약 1370억 원) 이상을 매입한 것으로 나타나 이해충돌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21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윤리국(OGE)은 지난 12일(현지시각) 공개한 자료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ㅣ난 1월 21일 취임 직후부터 600건이 넘는 금융거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다만 개별 매입액은 구간별로만 공개돼 정확한 액수는 확인되지 않았다.
매입 대상에는 씨티그룹, 모건스탠리, 웰스파고 등 주요 금융사를 비롯해 메타, 퀄컴, 홈디포, T모바일US, 유나이티드헬스그룹 등 대형 기업 발행 채권이 포함됐다. 여기에다 도시, 주(州), 카운티, 학군 등 지자체가 발행한 채권도 다수 매입했다.
이 같은 종목들은 금융 규제 완화 등 행정부 정책 기조와 맞닿아 있어 대통령의 정책이 개인 자산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법에 따라 투자 내역을 공개하고 있으며 채권 선택이나 운용에는 대통령이나 가족이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며 “제3의 금융기관이 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통령의 소득은 여전히 본인에게 귀속되는 구조여서 ‘투자는 직접 안 한다’는 설명에도 불구하고 이해충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존 카나반 미국 담당 수석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순자산은 최근 가상자산과 트럼프 미디어를 중심으로 크게 늘어났다”며 “채권 매입은 수십억 달러 규모 자산에서 위험을 줄이기 위한 분산투자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제출한 재산공개 보고서에서 2024년 한 해 동안 암호화폐, 골프장, 라이선스 사업 등에서 6억 달러(약 8220억 원)를 벌었다고 신고했다. 당시 전체 자산은 최소 16억 달러(약 2조1920억 원)로 추산됐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