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오픈소스·인재 풀로 AI 기술력 우위…美, '수출 통제'로 中 고립 시도
"AI 안전, 인류 생존 문제"…전문가들, '협력' 통해 위기 극복 촉구
"AI 안전, 인류 생존 문제"…전문가들, '협력' 통해 위기 극복 촉구

국제금융포럼(IFF)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AI 인력은 약 300만 명에 달하며, 미국(32.6%)과 중국(24.4%)을 합쳐 전체의 57%를 차지한다. 중국은 알리바바의 'Qwen'과 바이트댄스의 'Doubao'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오픈소스 AI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특히 딥시크(DeepSeek)는 저렴한 오픈소스 제품을 통해 1억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며, 접근성과 효율성 면에서 메타(Meta)나 구글(Google)을 능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강점은 국제 포럼에서 중국이 고립되면서 약화되고 있다.
AI에 관한 글로벌 파트너십(GPAI)과 같은 미국 주도 이니셔티브는 의도적으로 중국을 배제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이 '글로벌 공공재'로서의 AI를 옹호하는 제안을 외면하게 만든다.
힌튼 박사는 AI의 발전을 핵 기술에 비유하며 "약간 두렵다"고 말했다. 그는 AI가 인간에게 많은 유익을 줄 것이지만, 동시에 사이버 공격, 가짜 영상, 생물학적 위협 등 즉각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핵무기라는 '악마'를 통제하기 위해 국가들이 협력했던 것처럼, AI가 인간을 장악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국가들이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러한 AI 냉전을 막기 위해서는 먼저 국제 메커니즘을 강화해야 한다. 유엔 주도 기구를 활성화하여 군사 적용을 위한 위험 프레임워크와 "도로 규칙"에 대한 합의를 구축해야 한다.
블레츨리 파크 선언은 기반을 제공하지만, 시행 가능한 안전 표준이 필요하다. 국가들은 또한 국내 정책을 재조정해야 한다. EU의 AI 법은 글로벌 벤치마크를 설정하지만, 중국과 같은 신흥 강대국의 의견도 통합해야 한다.
중국은 공동 안전 프로토콜을 대가로 일부 수출 금지를 완화함으로써 화답할 수 있다. 기술 협력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중국의 오픈소스 모델과 공동 연구를 장려하면 AI에 대한 접근을 민주화할 수 있다.
힌튼 박사는 "역사는 희망을 준다. 핵 협정이 아마겟돈을 피한 것처럼, AI 대화는 안정을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흔들린다면 그 여파는 과거의 갈등을 무색하게 만들 수 있다"며, AI 거버넌스가 우리 모두를 집어삼키기 전에 이러한 불씨를 꺼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