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통신과 여론조사업체 입소스가 최근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미국인 다수가 대통령의 군 동원 권한에 우려를 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이번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58%가 “대통령은 외부의 위협이 있을 때만 군을 투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전국 주요 도시와 국경 지역에 주방위군을 잇따라 배치하면서 나타난 불안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미국 성인 115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 “국내 치안 목적으로 군 투입 반대”
또 전체의 48%는 “주지사가 반대하더라도 대통령이 병력을 주 내에 투입할 권한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찬성은 37%에 그쳤다.
◇ 트럼프 지지율 40%…범죄 대응 신뢰도 하락
이번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전체 지지율은 40%로 지난달 말 조사 때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범죄 대응에 대한 지지율은 41%로 떨어져(9월 43%) 올해 1월 취임 직후 47%에서 7%포인트 낮아졌다.
생활비와 범죄 대응 문제에서의 불만이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 “내부의 적” 발언에 우려 확산
이번 여론조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버지니아에서 열린 전 세계 장성·제독 회의에서 “미국은 내부의 적에 직면해 있다”고 발언한 직후 실시됐다.
그는 워싱턴DC, 로스앤젤레스 등 민주당이 주도하는 도시들에 무장 병력을 파견했고 민주당 지도부는 이를 “정치적 동원”이라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법원의 제동 움직임에 대해 “폭동 진압법”을 근거로 무시할 수 있다고 위협했다.
◇ “군은 정치적 중립 지켜야” 83%
응답자의 83%는 “군은 국내 정책 논쟁에서 정치적으로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10%만이 “군이 대통령의 국내 정책을 지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공화당 지지자 중 약 20%는 “군이 대통령의 입장을 지지해야 한다”고 답해, 정치적 중립을 선호하는 전체 여론과 온도차를 보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