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비트코인, 6주 만에 시총 6000억 달러 증발…‘4년 반감기 주기설’ 재점화

글로벌이코노믹

비트코인, 6주 만에 시총 6000억 달러 증발…‘4년 반감기 주기설’ 재점화

다음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와 19일 엔비디아 실적이 분수령
암호화폐 비트코인을 표현한 토큰.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암호화폐 비트코인을 표현한 토큰.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최근 6주 동안 암호화폐 시장에서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이 증발하고 최대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의 시총이 약 6000억 달러가 급감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한층 커지고 있다.

기술주 고평가 우려와 미국의 금리 인하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투기적 자산에 대한 매도세가 거세게 이어지고 있다.

18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는 데이터 제공업체 코인게코 자료를 인용해 10월 6일 정점 이후 1만8천 개 이상의 코인 시가총액이 25% 급락해 약 1조2000억 달러가 사라졌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간 비트코인 가격은 약 28% 하락하며 9만1100달러 수준까지 떨어졌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올해 들어 연초 이후 상승분을 모두 내준 채 4월 이후 최저 수준에 근접했다.

암호화폐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을 ‘비트코인 초강대국’으로 만들겠다고 공언하고,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친(親)암호화폐 성향의 위원장이 임명되자 연중 내내 랠리를 펼치며 지난달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렇지만 지난달 이후 분위기는 싸늘하게 식었다. 블룸버그 통신 집계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10월 고점 대비 약 6000억 달러가 증발했다.

캔터 피츠제럴드의 브렛 크노블라우흐 암호화폐 애널리스트는 “제도권 채택과 긍정적인 규제 모멘텀에도 불구하고 올해 암호화폐 시장의 상승분이 모두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최근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2월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자, 인공지능(AI) 투자 열풍을 주도하는 실리콘밸리 기술기업들의 고평가 우려와 맞물려 시장 불안을 더 키웠다.

금리가 낮아지면 단기 국채 투자 매력이 줄어들어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자산의 투자 매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지만,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진 것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이다.

불안감 확산...‘4년 주기설’ 다시 부상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매수 열기가 한풀 꺾이자, 시장에서는 그동안 주춤했던 ‘4년 반감기 주기’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비트코인 ‘반감기’는 약 4년마다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비트코인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희소성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 메커니즘으로 꼽힌다.

블룸버그는 “문제는 역사적으로 비트코인 반감기가 투기적 급등과 뒤이은 급락을 촉발했다는 점”이라며 “특히 채굴자들이 가격 하락 국면에서 보유 물량을 대거 매도하면서 시장 충격을 키우는 경우가 많았다”고 분석했다.

이번 사이클의 반감기는 지난 2024년 4월에 발생했고 이후 지난달 가격이 정점을 찍고 되밀리는 등 과거의 반감기 사이클과 대체로 맞아떨어지는 가격 흐름을 보이고 있다.

매체는 다만 최근 시장을 주도하는 대형 투자자들의 움직임으로 인해 기존의 ‘시나리오’가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트와이즈 애셋 매니지먼트의 매튜 호건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개인 투자자들의 심리가 극도로 악화돼 시장에 추가 하락 가능성이 남아 있다”며 "사람들은 4년 주기가 반복돼 또다시 50% 급락을 겪을까 두려워하고 있으며, 그래서 선제적으로 시장에서 발을 빼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마이크 맥글론 수석 상품 전략가는 ”금과 주식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상황에서 비트코인은 ‘위험자산 빙산의 꼭대기’에 불과하며 녹아내리고 있다“면서 ”비트코인과 대부분의 암호화폐가 추가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도권의 편입 논의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여전히 ‘분위기’에 좌우되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지난 10월 급락세 이후의 ‘여진’이 시장을 당분간 압박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다음 달 연준의 정책회의 결과와 이에 앞서 19일 공개될 엔비디아의 실적이 단기적으로 암호화폐 등 위험자산 전반의 향방을 가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