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대는 화학과 함시현 교수팀이 신장 투석 환자에게 아밀로이드증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응집 구조와 원인을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아밀로이드증은 만성 신장 투석환자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병으로 관절염, 골절유발 골낭종, 손목 터널 증후군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질병이다.
아밀로이드증은 '베타 투 마이크로글로불린'(b-2-microglobulin) 단백질이 응집하면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제까지 정확한 응집유발 구조와 응집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지원을 받았으며 최근 네이처출판그룹이 발간하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함 교수는 "신장 투석으로 인한 아밀로이드증, 관절염, 골낭종 등 질환의 중요한 원인을 규명해 관련 신약 개발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은영 기자 yesor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