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분기 누계 수주량 2위에 그쳐...코로나19 끝나면 수주량 회복 기대

13일 영국 조선·해운 분석업체 클락슨 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누계 수주량은 중국이 151만CGT(55척)로 가장 많고 한국 36만CGT(13척), 일본 18만CGT(12척)이 그 뒤를 이었다.
3월 수주량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클락슨 리서치는 3월 한 달 간 전 세계 발주량이 72만CGT(21척)를 기록했으며 국가별 수주량은 중국 65만CGT(17척), 한국 3만CGT(1척), 일본 2만9000CGT(2척)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지난해 수주량 1위를 차지한 한국은 중국에 밀리는 신세가 됐다.
이를 잘 보여주듯 지난해 초대형 유조선(VLCC), 컨테이너선, 벌크선 발주량도 감소했다.
VLCC는 지난해 47만CGT(11척)에서 올해 13만CGT(3척)로, 같은 기간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은 57만CGT(10척)에서 51만CGT(7척)로, 벌크선은 34만CGT(10척)에서 7만CGT(2척)로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종결된 후 세계 물동량이 회복되면 전 세계 선사들이 다시 발주를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