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AI 포럼' 2일차…생성형 AI 기술 발전 방향 논의 및 동향 공유
생성형 AI 통해 업무 생산성 향상과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
생성형 AI 통해 업무 생산성 향상과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

삼성전자는 8일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삼성 AI 포럼 2023' 둘째 날 행사를 통해 삼성리서치에서 개발한 생성형 AI 모델 '삼성 가우스(Samsung Gauss)'를 최초 공개했다. '삼성 가우스'는 정규분포 이론을 정립한 천재 수학자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로부터 영감을 얻은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로, 삼성이 추구하는 생성형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의미한다.
삼성 가우스는 머신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텍스트를 생성하는 언어 모델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모델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모델의 3가지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 모델은 클라우드와 온디바이스를 위한 다양한 모델들로 이루어져 있다. △메일 작성 △문서 요약 △번역 등의 업무를 더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기기관리가 가능하다. 코드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AI 코딩 어시스턴트 '코드아이(code.i)'는 사내 소프트웨어 개발에 최적화되어 개발자들이 쉽고 빠르게 코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드 설명이나 테스트 케이스 생성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미지 모델은 사진이나 그림 등 창의적인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고 기존 이미지를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외에도 저해상도 이미지의 고해상도 전환도 쉽게 가능하다.
'삼성 가우스'를 활용한 온디바이스 AI 기술도 소개됐다. 삼성리서치가 개발한 온디바이스 AI 기술이 탑재된 제품을 사용할 경우 소비자들은 개인정보 전송없이 △기기 제어 △문장 요약 △문법 교정 등을 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7년부터 매년 SAIT와 삼성리서치 주관으로 '삼성 AI포럼'을 개최해오고 있다. 이날 포럼에는 AI 기술 교류를 위해 학계 및 업계 AI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AI전문가들은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최신 동향도 공유했다.
'생각의 사슬(Chain-of-Thought)' 논문 저자 제이슨 웨이 오픈AI 연구원은 '대규모 언어 모델 르네상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대규모 언어 모델로 인한 패러다임 변화와 그것이 AI 분야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해 강연했다. 이외에도 서홍석 고려대 교수는 '멀티 모달 대화형 AI', 김건희 서울대 교수 연구실은 고밀도 2D-3D 실내 예측 등 생성형 AI의 현황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AI센터 부센터장(부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생성형 AI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업계와 학계 리더들과 협력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삼성전자는 AI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AI 활용시 보안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AI 윤리 원칙'을 정해 이를 준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생성형 AI에 대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경험 가치를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