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치, 현대차 A-·도요타 A+ 유지…전망도 ‘안정적’
글로벌 완성차 다수 하향 속 유일하게 신용도 흔들림 없어
글로벌 완성차 다수 하향 속 유일하게 신용도 흔들림 없어
이미지 확대보기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 관세 여파로 주요 자동차업체들의 신용등급이 잇달아 하락하는 가운데 현대자동차와 토요타가 견조한 경영체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계 3대 신용평가사들은 두 기업에 대해 친환경차 경쟁력과 재무 건전성을 근거로 등급과 전망을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최근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는 현대차의 신용등급을 A-, 토요타는 A+로 유지하고 전망을 ‘안정적’으로 제시했다. 피치, 무디스, 스탠더드앤푸어스(S&P)는 국제 금융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3대 신용평가기관으로 꼽힌다.
피치는 현대차와 토요타가 미국 상호 관세가 단기 수익성에 부담 요인이 될 수 있음에도 브랜드 경쟁력, 판매지역 다변화, 파워트레인 구성, 재무 건전성 등을 고려할 때 신용도 유지가 타당하다는 판단을 내놨다.
반면 닛산은 투자부적격 등급인 BB로 떨어졌고 폭스바겐과 혼다는 기존 등급을 유지했으나 전망이 ‘부정적’으로 내려갔다. 전망이 ‘부정적’으로 전환되면 2년 이내 등급 하락 가능성이 커진다는 의미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흐름이 지속될 경우 A- 이상 신용등급을 유지하는 완성차 업계가 현대차와 토요타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두 기업의 신용 안정성이 유지된 핵심 요인은 친환경차 경쟁력이다. 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전기차까지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어 지역별 탄소정책 변화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김창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보조금 체계 변화와 연비 기준 조정 영향으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의 경쟁력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문용권 신영증권 연구위원은 “현대차와 토요타는 고급부터 일반, 고성능까지 폭넓은 라인업을 확보해 수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고 말했다.
한편 올들어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A 등급 이상을 유지하면서 전망까지 ‘안정적’으로 유지한 글로벌 자동차기업은 현대차가 유일하다.
현대차는 무디스 A3, S&P A-, 피치 A-를 유지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다각화된 파워트레인 전략과 그룹사 연계 시너지를 통해 비우호적 경영환경 속에서도 체력을 강화해 온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


















![[2026 대전환] 지속가능발전 5대 지지대 전망](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006262704414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