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에 부품 공급난을 겪은 주요 기업들이 앞 다퉈 긴급 방제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국내 침투 경로가 다각화 되면서 가동을 멈추는 사업장이 늘어나 이젠 최악의 시나리오를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금으로선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자동차·반도체 산업도 언제 ‘셧다운(일시 조업 정지) ’에 돌입할 지 앞을 내다볼 수 없다.
국가 경제가 ‘코로나 쇼크’에 휘청이고 있는 지금 암울한 전망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는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1.6%, 1.9%로 수정했다. 세계적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한국 성장률이 최악의 경우 0.4%까지 내려갈 수 있다며 위기 신호를 보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3일 경제계 간담회에서 나온 건의 사항을 전폭 수용한다며 전향적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경제계가 그토록 요구하고 있는 규제 개혁은 여전히 요원한 상태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현 정부 초기부터 불황을 극복하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급히 처리해 달라며 법인세 인하 등 22건의 법안을 건의했지만 정부 의지 부재와 여야 정쟁으로 사실상 방치 돼 왔다.
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c07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