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먹거리 물가 소비자가 나설 차례다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먹거리 물가 소비자가 나설 차례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24일 오후 농수산물 물가 점검을 위해 서울 마포구 마포농수산물시장을 찾아 직접 배추를 골라 구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한덕수 국무총리가 24일 오후 농수산물 물가 점검을 위해 서울 마포구 마포농수산물시장을 찾아 직접 배추를 골라 구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먹거리 물가가 올라도 너무 오른다. 국가통계 포털에 따르면 대표적인 먹거리 지표로 꼽히는 가공식품과 외식물가의 2분기 상승률은 각각 7.6%와 7%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3.2%의 두 배 넘는 수치다. 10% 이상 오른 라면·빵 등 가공식품의 경우 안 오른 품목을 찾아보기 힘들다. 가격은 그대로지만 포장 속 내용물을 줄이는 이른바 ‘슈링크플레이션’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외식물가는 어떤가. 김밥·삼계탕 등 조사대상 품목 모두 올랐다. 짜장면 한 그릇은 7000원이 넘은 지 오래다. 줄줄이 오르는 설탕과 소금값에다 전기료·가스료·인건비 등이 외식물가를 끌어올리는 주범이다. 먹거리 물가 상승은 저소득층에 직격탄이다. 2분기 기준 우리나라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383만1000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오히려 2.8% 줄었다. 가처분소득은 전체 소득에서 이자와 세금 등을 빼고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을 말한다. 한마디로 주머니 사정은 나빠졌는데 생계용 물가만 오르는 최악의 상황인 셈이다.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농산물 수급 안정 정도다. 김장철을 맞아 배추 2900톤을 방출하고 생강·대파 등 김장 부재료 가격을 안정시키기로 한 게 전부다. 물가가 올라도 대책이 없는 셈이다. 향후 물가도 불안하다. 세계 경제가 둔화하는 가운데 터진 중동전쟁은 최대 변수다.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 모든 물가를 올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 필요한 것은 소비자의 힘이다. 소비자물가는 말 그대로 소비자가 결정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소비지출 물가를 중시한다. 소비자들이 가격에 대한 선택권을 중시하는 제도다. 프랑스 까르푸의 경우 슈링크플레이션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공개하는 서비스로 인기다. 소비자들은 불매운동에 적극 동참 중이다. 꼼수로 가격을 올린 제품 대신 대체품목을 사는 식이다. 한국은 소비자운동을 찾아보기 힘든 나라다. 현명한 소비자 행동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