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0.04%…강북 하락 전환·강남도 11개구 전체 내림세
전세 가격, 하락세 진입…월세는 수요 증가로 가격 상승세
전세 가격, 하락세 진입…월세는 수요 증가로 가격 상승세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2월 주택종합(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매매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수도권 집값이 하락세로 전환됐다.
서울은 전월 대비 0.04%·수도권은 0.03% 하락했다. 아파트 매매가격을 보면 서울과 수도권 모두 0.08%씩 내렸다.
월간 기준으로 서울 주택종합 가격이 내림세를 보인 것은 2020년 5월(-0.09%), 아파트 역시 2020년 5월(-0.20%) 이후 1년9개월 만이다.
부동산 시장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과 전세 가격 하락 등 다양한 하방요인에 따라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관망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서울 강북권의 주택종합 가격을 보면 대체로 매수세가 끊기고 매물이 적체되는 가운데 성북구(-014%)는 신규 입주물량의 영향이 있는 길음뉴타운·은평구(-0.14%)는 응암동·서대문구(-0.09%)는 연희·남가좌동 위주로 하락하며 강북 전체(-0.06%)가 하락 전환했다.
강남권에서는 서초구(0.02%)가 일부 신축은 상승했으나 그 외 단지는 약보합세를 보이며 상승폭이 축소됐다. 송파구(-0.09%)는 잠실동 인기단지·강남구(-0.03%)는 일부 중소형 위주로 하락 거래가 발생하며 강남 11개구 전체(-0.02%)가 1년 9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경기(-0.04%)는 매물이 누적되고 급매물 위주로 거래되며 하락 전환했고, 인천(0.06%)은 일부 중저가나 구축 위주로 올랐지만 지난달 대비 상승폭은 줄었다.
전세 가격은 서울(0.04%→-0.06%)과 수도권(0.01%→-0.07%)에서 하락세에 진입했다. 서울 서대문구(-0.16%)는 남·북가좌동 일대 중소형·종로구(-0.13%)는 창신·숭인동·강남구(-0.15%)는 개포·대치동 재건축 및 노후 단지·송파구(-0.11%)는 풍납·가락동 구축 및 장지동 준신축·양천구(-0.10%)는 목동 신시가지·동작구(-0.08%)는 상도·흑석동·강동구(-0.06%)는 고덕·암사동 주요 대단지 중심으로 매물이 쌓이며 하락 전환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은 대출금리 부담 및 갱신계약 사용 등으로 전세수요가 감소하며, 인천은 신규 입주물량 영향에 하락세로 돌아섰다"며 "경기는 의왕·화성시 등 중소형 구축 위주로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높은 전세가 부담과 전세대출금리 인상 등으로 월세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서울(0.07%)·경기(0.17%)·인천(0.18%) 등에서 월세 가격은 상승세가 지속되는 상황이다.
최환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gcho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