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지난 1일 확정된 정부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관세 대응 바우처 예산 847억원을 추가로 확보해 2000여개 중소·중견 기업을 더 지원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관세 대응 바우처 제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정부가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수출에 어려움을 겪게 된 한국 기업이 피해 분석, 대응 전략 수립, 대체 시장 발굴 등에 들어가는 컨설팅비 등 각종 비용의 일부를 미리 지급한 바우처로 정산해주는 제도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는 이번 추경에 앞서 본예산 93억원을 활용해 1차로 관세 대응 바우처 지원 대상 기업 204개사를 선정한 바 있다.
코트라는 1차 선정 기업 중에서는 자동차 부품, 기계류 분야 기업이 71개사(34.8%)로 가장 많았다고 전했다.
이들 기업은 해외 현지에서 전문적인 관세 대응 컨설팅을 받을 필요성을 크게 느낀 것으로 조사됐다.
추가로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수출 바우처 포털의 '관세 대응 패키지 서비스' 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수시로 변하는 관세 정책으로 인해 우리 기업들의 수출 애로가 커지고 있다"며 "확대된 관세 대응 바우처 예산을 신속히 집행해 우리 기업이 관세로 인한 수출 어려움을 제때 해소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