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SWIFT 점유율 1%만 확보해도 XRP 80~120달러 급등"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SWIFT 점유율 1%만 확보해도 XRP 80~120달러 급등"

SWIFT 일일 5조 달러 시장 정조준…리플 14% 땐 연 175조 달러 결제 전망
3초 거래 완료·0.002달러 수수료…ODL로 은행 비용 절감 큰 효과 입증
美 법원 판결·규제 환경 개선…XRP ETF·기관 투자 유입 가능성 높아
2030년까지 리플이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의 막대한 점유율을 차지한다면 XRP 가격은 폭등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구글 AI 제미나이 생성이미지 확대보기
2030년까지 리플이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의 막대한 점유율을 차지한다면 XRP 가격은 폭등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구글 AI 제미나이 생성
리플 최고경영자(CEO) 브래드 갈링하우스의 과감한 발언이 글로벌 암호화폐 커뮤니티를 뒤흔들었다.

28일(현지시각) 암호화폐 전문매체 캡틴알트코인에 딸면 갈링하우스 CEO는 최근 한 컨퍼런스에서 리플의 XRP가 오는 2030년까지 국제 송금의 거인인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의 전 세계 거래 중 14%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갈링하우스 CEO의 이 같은 언급에 대해 투자자들은 이러한 전례 없는 채택이 향후 몇 년간 XRP 가격에 어떤 폭발적인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리플의 'SWIFT 정조준' 목표와 그 규모


갈링하우스 CEO는 현재 SWIFT가 매일 약 5조 달러에 달하는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만약 리플이 이 흐름의 14%를 가져온다면, 리플 네트워크를 통해 매일 약 7,000억 달러, 연간으로는 약 175조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이 결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SWIFT는 은행 간 메시징 시스템으로, 국제 송금에 며칠이 소요되며 건당 25달러 이상의 높은 수수료가 발생하는 등 느리고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반면, 리플의 기술은 혁신적이다. XRP 거래는 단 3~5초 만에 완료되며, 수수료는 약 0.002달러로 극히 낮다. 또한, 시간대나 공휴일에 관계없이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돼 금융기관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은행들이 XRP에 주목하는 결정적 이유


리플의 주문형 유동성(ODL, On-Demand Liquidity) 서비스는 은행들의 이목을 끄는 핵심 요소다. ODL을 사용하면 은행들은 거액의 선불 '노스트로 계좌'를 미리 보유할 필요가 없어진다. 실제로 멕시코의 한 파트너는 ODL을 활용해 단 한 분기 만에 3억 달러를 절감하는 효과를 봤다.

여기에 더해 점점 명확해지는 규제 환경도 리플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지난 2024년 미국 법원은 XRP가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될 경우 증권이 아님을 판결했다. 유럽의 MiCA 프레임워크는 XRP를 다른 디지털 자산과 동일하게 취급하며, 일본 규제 당국은 이미 오랫동안 XRP의 결제 분야에서의 역할을 인정해 왔다. 심지어 미국에서 제안된 법안은 XRP와 같은 토큰을 상품으로 분류해 향후 상장지수펀드(ETF) 도입 및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유입의 문을 열 가능성도 시사했다.

SWIFT 점유율 확보 시 XRP 가격 시나리오


전문가들은 XRP가 갈링하우스 CEO의 예측치인 14%가 아닌, SWIFT의 일일 거래량 중 단 1%만 처리하더라도 향후 5년 안에 XRP 가격이 80달러에서 120달러 사이로 급등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부 극단적인 예측으로는 9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지만, 이는 대규모 공급량과 매도 압력을 고려할 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시장의 큰손인 '고래(Whale)' 투자자들은 이미 포지셔닝에 나선 모습이다. 1,000만 XRP 이상을 보유한 대형 지갑들은 갈링하우스 CEO의 발언 후 불과 3일 만에 3,800백만 달러 상당의 토큰을 순매수했다.

리플이 SWIFT 트래픽의 일부를 성공적으로 확보한다면, XRP 가격은 현재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대폭적인 상승을 경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갈링하우스 CEO의 목표 달성 여부가 향후 리플의 운명을 결정할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XRP가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