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9 07:09
엔비디아(NVIDIA)가 차세대 그래픽카드 RTX 5070에 SK하이닉스의 GDDR7 메모리를 탑재한 것으로 확인됐다. 비디오카드Z(VIDEOCARD.com)는 지난 8일(현지시간) RTX 5070 그래픽카드에 SK하이닉스의 GDDR7 메모리가 사용되고 있다고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현재 RTX 5090, 5070 Ti 및 5070 모델에 28Gbps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RTX 5080에는 더 빠른 32Gbps 칩을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그래픽카드에서 두 가지 메모리 속도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삼성 GDDR7 메모리는 노트북 GPU 시리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고 이 매체는 보도했다.◇ RTX 50 시리즈 메모리 공급 현황비디오카드Z는 "공식적으로 GeForce RTX 52025.04.09 06:39
미국발 경기 침체 공포가 촉발한 극심한 시장 매도세에 LG전자 인도법인과 에테르 에너지의 기업공개(IPO) 계획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이달 말 상장을 앞뒀던 두 회사 모두 시장 심리가 급변하면서 IPO 연기를 심각하게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인도 유력 일간지 비즈니스스탠더드가 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투자은행 관계자는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 투자자들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IPO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LG전자와 에테르 모두 상황을 주시하며 최적의 시기를 기다릴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현재로서는 연기 가능성이 높지만, 최종 결정은2025.04.09 06:36
폴란드가 역대 최대 규모 K9 자주포 사용자 클럽 회의를 개최해 글로벌 포병 협력 강화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8일(현지 시각) 디펜스 인더스트리에 따르면, 8일부터 10일까지 폴란드군 주최로 크라쿠프에서 열리고 있는 제4회 K9 사용자 클럽에는 150명 넘는 군·방위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K9 자주포 운용 국가들의 국제적인 정보 교류의 장인 이번 회의는 훈련, 유지보수, 운용 노하우 공유를 목표로 한다. 회의에는 K9 자주포 운용 7개국인 한국, 폴란드, 노르웨이, 핀란드, 에스토니아, 호주, 루마니아와 더불어 미국과 스웨덴이 참관국으로 참여했다. 또한 핀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폴란드 방위산업 대표단도 참석해 협력 방안2025.04.09 05:22
일론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두고 이견을 드러내면서 양자 관계가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뉴스위크는 지난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뉴스위크는 테슬라와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인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의 최신 관세 정책과 이를 추진하는 측근들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고 보도했다.뉴스위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모든 수입품에 대해 국가별로 최소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적 관세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국제 공급망에 크게 의존하는 사업을 운영하는 머스크는 이 정책이 경제적으로 비생산적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머스크는 지난 5일 이탈리아 동맹당이 주최한 정치 회의에 원격으로2025.04.09 04:58
전 세계 경제 질서가 100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이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국에 1930년 스무트-호울리 관세법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무역 시스템에 대혼란이 빚어지고 있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9일(현지시각) "미국 증시가 관세 우려로 상승분을 반납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104%의 고율 관세를 밀어붙이면서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FT에 따르면 백악관은 중국 제품에 대한 추가 50% 관세가 워싱턴 시간으로 10일 자정 직후(한국시간 9일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일 발표된 이른바 '상호적 관세' 34%와 기존 관세를 더해 총 104%를 넘어서는2025.04.09 04:3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추가 50% 관세를 부과하며 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되고 있다. 이번 조치로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104%를 넘어서게 됐다.파이낸셜타임스(FT)의 9일(현지시각) 보도에 따르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새로운 관세가 미 동부 시간으로 9일 "오전 12시 1분(한국시간 9일 오후 1시 1분)에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다.레빗 대변인은 "미국이 펀치를 맞았을 때, 대통령은 더 세게 반격한다"며 "이제 중국에 104%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협상을 위해 손을 내민다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관대하겠지만, 중국이 먼저 전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이번2025.04.09 01:26
독일 최대 반도체 기업 인피니언이 미국 경쟁사 마벨 테크놀로지의 자동차 이더넷 사업 부문을 25억 달러(약 3조 6800억 원)에 인수하며 미래 자동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독일 유력 일간지 한델스블라트가 지난 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뮌헨에 본사를 둔 인피니언은 이번 대규모 투자를 통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시장에서 기술적 우위를 선점하겠다는 전략을 분명히 했다. 인피니언은 지난 7일 늦은 저녁, 이 같은 내용의 인수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요헨 하네베크 인피니언 CEO는 "이번 인수는 자동차 산업용 반도체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선두 기업인 인피니언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보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2025.04.09 01:05
호주가 중국 기업이 운영하는 전략적 요충지 다윈 항구의 소유권을 되찾기 위한 공식 절차에 착수했다. 미국 뉴스위크는 지난 7일(현지시간) 호주 정부가 다윈 항구를 다시 자국 소유권으로 되돌리겠다고 선언함에 따라 중국이 남반구의 중요한 전략적 항구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고 보도했다.앤서니 알바니즈 호주 총리는 지난 5일 호주 방송 공사(ABC)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다윈 항구를 다시 호주의 손에 넘기기 위해 랜드브리지 그룹과의 임대 계약을 종료할 민간 구매자를 물색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이미 이 시점까지 잠재적 구매자를 통해 비공식적으로 작업해 왔으며, 연방정부가 직접 개입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면 그럴 준비2025.04.09 01:00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54%의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해 중국이 전략적으로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분석이나 오고 있다.지난 7일(현지시각) 뉴스위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재개했지만, 이번에는 베이징의 대응이 달라졌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중국이 미국의 관세 인상에 단순히 맞대응하지 않고 정확성을 추구했다고 강조했다. 파종 성수기에 맞춰 미국 농산물 수출액 150억 달러(약 22조 원)를 정확히 겨냥해 공화당 지지 기반에 타격을 가했으며, 이는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부들의 경제적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전했다.중국은 2018년 첫 무역전쟁 이후 수입 포트폴2025.04.08 11:10
아드녹 가스(Adnoc Gas)가 추진하는 50억 달러(약 7조, 3540억 원) 규모의 중동 가스 시설 확장 프로젝트 수주를 놓고 삼성E&C를 포함한 글로벌 톱 건설사들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아드녹 가스의 P5 장기 시설과 관련된 세 건의 사업으로, 총 투자 규모는 50억 달러(약 7조 3540억 원) 이상으로 예상된다.8일(현지시각) 업스트림온라인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이는 주요 건설사로는 삼성E&C 외에도 테크닙 에너지, 린데, 사이펨, 중국석유공정건설공사(CPECC), 페트로팩, NPCC, 테크노몬트 등이 거론된다. 이들 기업은 중동 지역에서의 대규모 플랜트 건설 경험과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주를 위해2025.04.08 10:55
중국이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를 통해 미국의 차세대 전투기 개발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 7일 (현지시각) 뉴스위크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부분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54%로 인상하겠다는 결정에 대응해 항공전자공학에 필수적인 희토류 자원에 대한 수출 통제를 강화했다.중국 상무부는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루테튬, 스칸듐, 이트륨 관련 품목을 포함한 7개 범주의 중희토류와 텅스텐, 텔루르,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관련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를 발표했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조치로 항공전자공학 부품을 중국에서 조달하는 미국 항공우주 제조업체들이 우려를 표명하고 있2025.04.08 10:12
애플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인해 최근 25년 만에 최악의 3일간 주가 하락을 겪었다. 이에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의 미국 공급을 늘릴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지난 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면제를 추진하는 동안의 단기적인 대응책이다. 애플의 팀 쿡 CEO는 이미 트럼프 행정부 초기에도 관세 면제를 받은 경험이 있다. 하지만 현재 상황이 불확실하다고 판단하여 중국 중심의 기존 공급망에 대한 장기 투자를 당장 변경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패키지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최소 54%로 인상하고, 인2025.04.08 07:35
타이중의 대중교통 인프라가 한층 확충될 전망이다.타이완 뉴스(Taiwan News)가 지난 7일(현지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타이중시 고속교통시스템국(Rapid Transit System Bureau)은 타이중의 두 번째 지하철 노선인 'MRT 블루 라인(Blue Line)' 건설이 올해 하반기에 시작된다고 밝혔다.고속교통시스템국은 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 어반 솔루션, 프랑스 알스톰 트랜스포트 S.A. 대만 지사, 대만 CTCI 코퍼레이션, 한국 현대로템 등 4개 기업이 블루 라인 건설을 맡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채널뉴스아시아(CNA)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의 계약 체결이 5월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그린 라인과 십자형 네트워크 형성블루 라인은 총1
리플, 11억 달러 XRP 이동…서클 인수 불발 속 배경에 궁금증 증폭2
리플 XRP 급락에 1000% 청산 불균형…반등 시 3달러 돌파 가능성도3
크립토타임즈 "리플 회장, 폴 앳킨스 SEC 위원장과 회동 예정"4
아이온큐, 양자 컴퓨팅으로 AI 성능 '퀀텀 점프'… LLM·이미지 생성 혁신5
美 SEC, ETH·SOL·XRP ETF 상장 신청 심사 연기6
엔화, 관세 협상 기대감에 145엔대로 하락...달러 매도 잇달아7
엔화, 日銀 금리 동결로 145엔대로 추락...4주 만에 최저8
애플 아마존 "돌연 급락" 뉴욕증시 시간후거래 실적발표 어닝쇼크9
비트코인, 2개월여 만에 최고치 돌파...10만 달러 가시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