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은성수 “원가 오른다고 모두 가격에 반영하지는 않아…실손보험, 종합적 개선 필요”

글로벌이코노믹

은성수 “원가 오른다고 모두 가격에 반영하지는 않아…실손보험, 종합적 개선 필요”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1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보험사 CEO와 만나 보험료 인상 등 업계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1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보험사 CEO와 만나 보험료 인상 등 업계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원가가 오른다고 모두 가격에 반영하지는 않는다”며 보험료 인상보다는 자구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은 위원장은 1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보험사 CEO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다른 업권과 마찬가지로 보험업계도 저금리로 어렵다는 것에 오신 분들 모두가 공감했다”며 “소비자 보호, 가치경영 등에 대해 인식을 같이 하고 그 부분을 잘 이행해나가겠다는 약속을 해주셨다”고 밝혔다.

보험료 인상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얘기를 많이 하지는 않았다”면서도 “실손보험의 손해율 인상은 상품 구조 문제, 과잉진료, 도덕적 해이 등 여러 이유가 있는데 이런 부분을 종합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보험사들은 올해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이 129.1%라며 내년에 실손보험료를 15∼20% 정도 인상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금융위는 사업비 축소와 보험금 누수방지 등 보험사의 자구노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서 당국의 보험료 개입이 과도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휴대폰 제조원가가 올랐다고 그 부분을 그대로 가격에 반영해 올리지는 않는다”며 “소비자가 살 수 있느냐 없느냐를 보고 결정해야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실손보험은 가입자가 3800만 명이나 되는데 손해가 났다고 그들 모두에게 부담을 지게 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며 “사업비 절감 등 보험사에서 자구노력을 통해 흡수할 수 있는 건 하고 당국에서도 의료이용 의료이용량에 따른 차등제를 도입하고 과잉진료 막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보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br0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