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포스트 코로나 美 경제 장애물 '첩첩'…올 성장률 하락 불가피

글로벌이코노믹

포스트 코로나 美 경제 장애물 '첩첩'…올 성장률 하락 불가피

8%대 인플레 통제 위해 '긴축 통화정책' 서둘러 동원
통화정책 아닌 외부변수에 美경제 연착륙 여부 달려
미국 워싱턴의 컨스티튜션 애비뉴에 있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 건물.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워싱턴의 컨스티튜션 애비뉴에 있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 건물. 사진=로이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에서 벗어나고 있는 미국의 경제 진로 앞에 장애물이 산적해 있다. 미국 경제가 연착륙에 성공하려면 숱한 난관을 헤쳐가야 하고, 이 과정이 절대 순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경제는 지난해에 5.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올해에는 성장률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월가의 일치된 분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41년 만에 최고치로 오른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려고 긴축 통화 정책을 서둘러 동원하고 있다.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8.5%를 기록했다. 연준이 물가를 잡으려면 긴축 통화 정책을 동원해야 하고, 이렇게 되면 경제 활동 위축에 따른 경기 침체 위험이 뒤따를 수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연준이 경제 활동이나 고용 시장을 위축시키지 않으면서 물가를 끌어내리는 연착륙에 성공한 사례가 별로 없다고 지적했다.

연준 관계자들은 내년 말까지 기준 금리를 2.75% 정도로 유지하면 소프트 랜딩이 가능하다고 본다. 이 시나리오가 전개되면 내년 말까지 인플레이션이 2%대로 내려갈 수 있을 것으로 연준이 기대하고 있다. 이때 미국의 경제 성장률을 2~3%대로 유지하고, 실업률을 4% 밑으로 안정시키겠다는 게 연준의 목표이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런 시나리오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경제의 연착륙 여부는 연준의 통화 정책이 아니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외부 변수에 달려 있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와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에도 불구 국제 유가가 떨어져야 한다. 또 코로나19 대유행 당시에 자발적으로 퇴직했던 미국의 노동자들이 다시 일터로 복귀해 인력난이 해소돼야 한다.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으려는 ‘제로 코로나 정책’ 속에서도 글로벌 공급망이 해소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 코로나19 대유행 사태가 장기 소강 국면으로 접어들어 경제 활동이 위축되지 말아야 한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고용 성장을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을 잡는 게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 할 수 있으려면 기술과 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글로벌 공급망 병목 현상은 미국 연준이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세계 주요국의 생산 시설이 문을 닫았고, 대면 근무 기피 등에 따른 인력난으로 물품 수송에 중대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글로벌 공급난이 연내에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이를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로 국제 유가가 급등하고 있고, 이것이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남부에 병력과 무기를 집중하면서 파상 공세를 전개할 계획이고, 서방은 공격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해 결사항전을 지원하고 있다. 양측간 공방전으로 이 전쟁이 장기화할수록 미국과 글로벌 경제의 진로가 불확실해진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의 최대 위협 요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나 각국의 긴축 통화 정책이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CNN은 “누구도 말을 하지 않는 글로벌 경제의 최대 위협 요인은 코로나19 확산을 막으려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다”고 주장했다. 중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함에 따라 상하이에 이어 시안, 정저우 등 다른 도시들도 잇달아 봉쇄에 돌입했다. 상하이는 봉쇄 3주째를 맞이했고, 상하이 인근 쿤산시가 봉쇄에 들어갔으며 산시성 성도 시안과 허난성 성도 정저우도 부분 봉쇄에 들어갔다.

중국은 봉쇄 정책으로 경제 활동이 둔화하면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고조된다. 미국이 중국으로 인해 경기 침체에 빠지지 않을 수는 있으나 경제 성장률 하락이 불가피하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미국 노동 시장에서는 인력난이 해소될 조짐이 나타나지 않는다. 지난 2월 기준으로 미국에서 비어 있는 일자리가 1,130만 개에 달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에 비해 400만 개가 증가한 것이다. 기업은 이렇게 비어있는 일자리를 채우려고, 봉급을 인상한다. 기업은 인건비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분을 상품 가격 인상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가한다. 이것이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