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미국과 통상합의에 따라 마련한 5500억달러(약 765조6000억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가 대만 반도체 기업의 미국 내 생산시설에도 자금 지원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27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료세이 아카자와 일본 경제재생상은 전날 NHK 방송과 인터뷰에서 “일본, 미국, 그리고 가치관을 공유하는 나라들이 경제안보 핵심 분야의 공급망을 함께 구축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만 반도체 기업이 미국에 공장을 짓고 일본 부품을 사용하거나 일본 수요에 맞춘 제품을 생산한다면 이 역시 투자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5500억달러 규모의 패키지는 미국산 관세 인하와 맞바꾼 일본의 투자 약속으로 자금은 일본국제협력은행(JBIC)과 일본무역보험(NEXI)을 통해 공급된다. 아카자와 장관은 “전체 투자 중 지분 투자 비중은 1~2%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대출과 보증 방식으로 집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측이 이 투자에서 90%의 수익을 가져간다’는 백악관 발표에 대해서도 아카자와 장관은 “이는 단지 지분 투자 수익에 해당하며 전체 투자금 중 비중은 극히 낮다”고 반박했다. 그는 “애초에 일본은 수익의 절반을 가져가길 기대했지만 이번 양보로 손해를 보더라도 관세 감면으로 최대 10조엔(약 67조7200억원)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실익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이 패키지를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기간 중 최대한 신속히 집행할 계획이며 미국과의 전략적 공급망 협력 강화를 본격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