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CATL, '아시아 리튬 수도' 이춘 핵심 광산 가동 중단

글로벌이코노믹

CATL, '아시아 리튬 수도' 이춘 핵심 광산 가동 중단

中 정부 '과잉생산' 규제 속 허가 갱신 지연
생산원가 밑돈 리튬…업계 구조조정 신호탄
중국 정부의 과잉생산 규제와 채굴 허가 갱신 지연으로 세계 1위 배터리 기업 CATL의 핵심 리튬 광산이 가동을 멈췄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장기적인 공급과잉 해소와 구조조정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CATL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정부의 과잉생산 규제와 채굴 허가 갱신 지연으로 세계 1위 배터리 기업 CATL의 핵심 리튬 광산이 가동을 멈췄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장기적인 공급과잉 해소와 구조조정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CATL 로고. 사진=로이터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의 CATL이 장시성의 핵심 리튬 광산 생산을 전면 중단했다. 전 세계 리튬 생산량의 약 3%를 차지하는 이 광산은 채굴 허가 기간이 만료돼 문을 닫았으며, 이번 조치는 최소 3개월 이상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 통신은 10일(현지시각)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CATL이 장시성 이춘시 젠샤워 리튬 광산의 가동을 멈춘다고 내부적으로 공지했다고 보도했다. 이춘은 '아시아 리튬 수도'로 불릴 만큼 중국 안 리튬 생산의 핵심 거점이다. 이번 조치로 CATL 내외부 직원과 인근 제련소들을 아우르는 생산 공급망이 일시 멈췄다.

한 소식통은 "CATL이 지난 8월 9일 만료된 주요 채굴 허가를 연장하지 못해 생산을 멈췄다"고 밝혔다. 그는 CATL이 허가 갱신을 위해 정부 기관과 협상을 이어가고 있으나, 규제 당국과의 재협상에 따라 중단 기간이 공식 발표된 '최소 3개월'보다 더 길어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 中 정부 규제 강화…공급과잉 시장엔 '숨통'

이번 생산 중단은 산업 전반의 과잉 생산을 규제하고 환경·안전 감시를 강화하는 중국 정부의 정책 기조 속에서 이뤄져 주목받고 있다. 복잡해진 허가 갱신 절차를 통해 사실상 감산을 유도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2년 넘게 공급 과잉에 시달려온 리튬 시장에서는 이번 공급망 차질이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 섞인 전망이 나온다.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자재인 리튬 가격은 그간 극심한 변동을 겪었다. 배터리 등급 탄산리튬 가격은 2020년 6월 톤당 4만 1000위안(약 792만 원)에서 급등해 2022년 11월에는 톤당 59만 위안(약 1억 1402만 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이후 긴 하락세로 돌아서 현재는 톤당 약 7만 위안(약 1352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업계는 이번 공급 축소가 다른 리튬 생산자에게는 좋은 신호로 작용할 수 있으나, 뿌리 깊은 공급과잉 문제를 풀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생산할수록 손해…공급망 위험 관리 과제로


특히 CATL의 젠샤워 광산은 수익성 문제에 마주해 있었다. 지난해 9월 보도에 따르면 이 광산의 리튬 광석 현금 생산 원가는 톤당 10만 위안(약 1932만 원)으로, 당시 탄산리튬 시장 가격인 7만 5000위안(약 1449만 원)을 크게 웃돌았다. 생산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였던 셈이다. 자체 광산 가동이 멈추면서 CATL의 원자재 외부 조달 의존도는 커질 수밖에 없고, 이는 고스란히 원가 부담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생산 중단이 고질적인 공급 과잉과 가격 하락에 맞선 업계 구조조정의 촉매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허가를 다시 받기 전까지 배터리 공급망의 단기 불확실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 앞으로 CATL은 긴급 조달을 포함한 공급망 위험 관리에 나서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고, 세계 리튬 시장 역시 중국발 산업 재편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마주하게 됐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