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SNS 차단' 조치로 대규모 시위 촉발

동남아시아 네팔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 정부 시위가 5일째 이어진 가운데 시위대와 경찰관을 포함 총 51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네팔 경찰의 12일 오전 발표에 따르면 지난 8일 시작된 반 정부 시위와 이에 따른 폭력, 탈옥 등 사태로 시위대 21명과 수감자 9명, 경찰관 3명, 기타 18명 등 총 51명이 사망했다.
이번 시위의 직접적 발단은 정부의 SNS 차단 조치였다. 네팔 정부는 지난 5일 유튜브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X 등 글로벌 소셜 미디어 서비스 26종에 접속할 수 없도록 조치했다.
이에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선 8일 시위대가 모여 "소셜 미디어가 아닌 부정부패를 척결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시위대원이 수만 명 모인 가운데 무질서 행위, 경찰의 과잉 진압 등이 겹치며 폭력 시위로 번졌다.
시위 2일차인 9일에는 대통령 관저와 총리공관, 의회, 대법원, 검찰청, 경찰청 등 정부기관에 연쇄 방화가 벌어졌다. 시위대는 또한 네팔 각지 교도소들을 파옥, 총 1만3572명의 수감자들이 탈옥했다.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는 시위 2일차인 9일 사임했으나 람 찬드라 파우델 대통령은 권력 공백 방지를 위해 그를 다시 임시 총리로 임명했다.
시위대를 이끄는 대표들은 네팔 육군 관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내각의 수장으로 수실라 카르키 전 대법원장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르키 전 대법원장은 현직 시절 부정부패한 관료들에게 엄격한 판결을 내려 '반 부패'의 상징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