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차원에서는 정책위원회와 일본경제침략대책특별위원회, 소재부품발전특별위원회를 가동하면서 역할 분담을 통해 입법·제도·예산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원내 차원에서도 기존 민생입법추진단을 '한일 경제전 예산입법추진단'으로 확대하고, 추진단 내 외교안보·기술독립·규제개혁 등 세 분야 태스크포스(TF)를 설치, 전면 대응에 나섰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추진단은 일본의 경제 침략 행위에 맞선 법·제도·예산 지원에 주력해 활동할 계획"이라며 "개별 상임위원회 차원에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확대·발전시켜 여러 상임위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실질적으로 성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은 그간 핵심 소재 개발을 가로막는 대표적 규제로 화평·화관법을 지목하며 법 개정을 호소해 왔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