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예산이 25조 원을 넘어서는 것은 처음이다.
정부는 내년에 2조9241억 원을 투입해 일할 기회를 직접 제공한다. 올해의 2조779억 원보다 8462억 원 늘어난 규모다.
이 가운데 노인 일자리는 61만 명에서 74만 명으로 13만 명 늘리기로 했다.
어린이집 보조교사는 4만→5만2000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종사자는 1만2000개→3만 개로 확충하기로 했다.
청년·중년·노인 등 대상별 특화 일자리도 4만3000개→6만4000개로 2만1000개 확대하기로 했다. 노인일자리 사회서비스(2만→3만7000개), 중년 경력형 일자리(2000개→5000개) 등이 포함된다.
장애인 등 취약계층 지원 일자리는 9만9000개에서 11만5000개로 1만6000개 늘리기로 했다. 장애인 활동 보조인 일자리는 7만 개→7만8000개, 장애인 일자리 지원은 9000개→1만 개로 늘어난다.
환경·문화 등 신수요 일자리도 1만5000개 추가로 발굴할 방침이다. 미세먼지 배출 감시단(1000개), 바다환경지킴이(200→1000개) 등이다.
5개 지역에 650억 원을 투입, '고용위기 선제 대응형 일자리 패키지'도 신설하기로 했다. 지역당 평균 130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또 3000억 원을 투입, '국민취업지원제도'를 도입해 고용보험지대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로 했다.
중위소득 50% 이하인 저소득층과 청년 등에게 구직 촉진 수당과 고용서비스를 지원하고 실업급여는 평균임금의 50%에서 60%로 올리기로 했다. 지급기간도 기존 90~240일에서 120~270일로 늘릴 예정이다.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은 9909억 원을 편성, 기존 20만에서 29만 명으로 9만 명 늘려 지원하기로 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1조2820억 원으로 편성, 35만 명의 취업을 돕기로 했다.
신중년을 위한 경력형 일자리 2500명, 사회공헌활동 5000명을 늘릴 예정이다.
월 30만 원씩 최대 2년을 지원하는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도 신설하기로 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