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중앙은행 "부분 동원령발 경제 충격 9월부터 가시화"

이는 서방권에서 나온 주장이 아니라 러시아 중앙은행에서 자체적으로 파악한 결과여서 주목된다.
서방사회의 강도 높은 경제제재 조치에 푸틴 대통령이 정면으로 맞서면서 러시아 경제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해 왔으나 오히려 그가 내린 동원령이 러시아 경제를 뒤흔드는 자충수가 되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푸틴의 동원령은 러시아의 고용시장 불안을 촉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러 중앙은행 “러시아 경제, 9월 들어 교착상태”
23일(이하 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은 최근 펴낸 보고서에서 “그동안 회복세를 보였던 러시아 경제가 지난달 들어 교착상태에 빠진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특히 지난달 말에 가까워지면서 러시아 경제가 악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대국민 연설을 통해 부분 동원령을 선포한 바 있어 러시아 중앙은행이 경제가 악화되기 시작했다고 지목한 시점과 일치한다.
보고서는 구체적으로 푸틴 대통령의 동원령이 러시아 경제에 미치고 있는 영향에 대해 언급했다. 무려 30만 명에 달하는 예비군을 대상으로 선포한 동원령으로 러시아 제조업이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것.
막대한 규모의 근로자들이 전선으로 투입되면서 제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공백으로 내수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보고서 “부분 동원령발 인력대란 우려”
보고서는 특히 부분 동원령 때문에 러시아 고용시장이 크게 경색되면서 기업들이 인력을 채용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위기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미 러시아의 실업률이 기록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상황까지 겹치면서 향후 여러 달 동안 러시아 경제가 위기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동원령 때문에 고용시장의 불안이 촉발된 것뿐만 아니라 동원령을 피해 러시아를 떠난 국민이 상당한 규모라는 점도 러시아의 경제적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앙은행은 이번 보고서에서 동원령을 피해 러시아를 탈출한 국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동원령 선포 이후 지금까지 러시아를 떠난 러시아 국민이 30만 명을 돌파했다고 보도했다.
푸틴의 동원령 선포로 러시아 고용시장에서 빚어지고 있는 공백의 규모와 관련해 블룸버그 통신도 러시아 전체 근로자의 약 1%가 일자리에서 벗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징집 대상이 된 직장인을 둔 가정의 소득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러시아 내수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러시아 투자은행 르네상스캐피털은 “이번 동원령은 소비 심리를 매우 큰 규모로 위축시켜 러시아 국내총생산(GDP)이 0.5%포인트 정도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