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내년 中·日 제외한 주요국 금리 인상 마무리"

공유
0

한은 "내년 中·日 제외한 주요국 금리 인상 마무리"

미국·유로존, 긴축 기조 완화 전망
중국은 완화적 통화정책 유지
일본은 통화정책 정상화 시작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한국은행

내년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주요국들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고 금리 인상을 마무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최종금리 수준은 국가별 경제여건에 따라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외자운용원은 27일 '2023년 글로벌 경제여건 및 국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상반기 중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정책금리 인상속도를 늦추고 금리 인상 기조를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은 내년 상반기 중 정책금리를 0.75%포인트 추가 인상해 최종금리가 5%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후에는 물가가 안정될 때까지 제약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내년 말까지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김주영 한은 운용전략팀 과장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내년 2월 또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 인상폭을 25bp(0.25%포인트)로 축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후에는 인플레이션 정책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제약적인(restrictive)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정책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내년 상반기 중 수신금리를 3%초중반대까지 인상하고 금리 인상을 중단할 것으로 예상됐다. 금리 인상은 멈추지만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지 않는 한 연내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반면 그동안 주요국 중앙은행의 빠른 긴축에도 불구하고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했던 일본과 중국의 경우, 일본은 완화정책 점진적 철회, 중국은 완화정책 유지로 돌아설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내년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과정에서 확진자수 확대와 이에 따른 노동공급 차질, 부동산 시장 둔화 등으로 상반기에는 다소 성장세가 다소 제약 될 수 있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민간소비 중심의 강한 수요 회복이 이를 압도하면서 5%에 가까운 성장률이 예상된다. 특히 '제로코로나' 정책을 펼쳐온 중국 내년 경기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박수연 한은 정부채2팀 과장은 "중국 인민은행은 내년에도 경기회복 지원을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전망"이라며 "부동산 경기의 빠른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선진국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종료될 가능성이 높아 현재의 낮은 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코로나 확진자가 급격히 늘어나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될 경우 내년 상반기 중 MLF(중기대출) 금리, 대출우대금리(LPR) 및 지준율을 소폭 인하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정책금리가 이미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 리오프닝 이후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질 가능성을 감안할 때 중국 인민은행은 금리 및 지준율과 같은 가격정책보다는 구조적 통화정책 수단으로서 수량정책을 활용에 무게가 실린다.

일본의 경우 마이너스 정책금리 유지에 따른 금융기관의 부담, 엔화 약세 등으로 통화정책 전환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또 2013년 이후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의 근간이 됐던 정부와 중앙은행간 공동성명의 수정 능성이 제기되는 등 정치적 모멘텀도 변화 조짐이 나타났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일본은행(BOJ)은 내년 4월 총재 교체 이후 통화 정책 정상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디플레이션 파이터'라고 불리면서 마이너스 금리 정책과 과감한 양적완화를 통해 완화적 통화정책에 선봉에 서있던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내년 4월 퇴임한다.

백서영 한은 정부채2팀 조사역은 "쿠로다 총재 퇴임 이후 수익률곡선관리정책(YCC)의 추가 조정, 마이너스 정책금리 폐기 등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다만 글로벌 경기침체, 주요국 금리인상 조기 중단 등이 현실화될 경우 완화기조가 유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