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10명 중 3명 이상 구독”…LG전자, 가전 구독 대세

글로벌이코노믹

"10명 중 3명 이상 구독”…LG전자, 가전 구독 대세

작년 구독 매출 1조1341억원...대형가전 구독 본격화 2년만에 ‘유니콘 사업’ 등극
구독으로 이용가능한 LG전자의 프리미엄 가전 주요제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사진=LG전자이미지 확대보기
구독으로 이용가능한 LG전자의 프리미엄 가전 주요제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사진=LG전자
LG전자의 프리미엄 가전을 구매하는 고객 10명 중 3명 이상이 구독방식을 이용할 정도로 LG전자의 구독사업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LG전자는 6월 한달 간 LG 베스트샵에서 판매된 LG전자 주요 제품의 구독 비중이 36.2%에 달한다고 11일 밝혔다. 이 수치는 총 23종의 구독 가능 제품 중 구독이 대부분인 정수기, 최근 구독 제품으로 추가된 가정용 환기 시스템과 클로이 로봇을 제외한 20종을 대상으로 조사한 수치다.

LG전자는 제품 중심 사업에 △구독 △콘텐츠 △서비스 등 무형의 영역을 결합하는 사업모델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전자의 지난해 연간 구독 매출은 1조1341억원으로 대형가전 구독을 본격화한 지 2년만에 ‘유니콘 사업’에 올랐다. 올해 상반기는 지난해 동기보다 성장세가 더욱 빨라져 연말에는 연간 최대 구독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는 가전 구독의 인기 비결이 고객이 전문가로부터 제품을 정기적으로 관리 받으면서 사용할 수 있고 구입 시 구독 기간을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고객은 케어 매니저의 정기 방문을 통해 △청소 △성능 점검 △필터 등 소모품 교체까지 제품을 빈틈없이 관리 받을 수 있고 가전 구독 기간 내내 무상수리 보증을 받을 수 있다.
초기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 없이 매월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프리미엄 가전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최근 1인 가구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소비 트렌드와 맞닿아 있다. 특히 여름철을 맞아 에어컨 구독 성장세가 가파르다. 구독 고객 대부분이 차별화된 편리함으로 인기 있는 AI 에어컨을 택한 것도 눈에 띄는 특징이다.

LG 휘센 스탠드 에어컨의 ‘AI 스마트케어’ 기능은 고객이 따로 바람의 세기나 방향을 조절하지 않아도 AI가 공간을 분석해 최적의 쾌적함을 선사한다. LG전자는 생활가전 뿐만 아니라 지난해 10월 TV도 구독을 처음 시작했다. 올레드 TV 외에 스탠바이미, QNED TV 등도 구독 판매가 빠르게 증가하며 홈 엔터테인먼트 제품들도 구독사업의 핵심 포트폴리오로 자리 잡고 있다.

LG전자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구독 경제 트렌드에 발맞춰 가전 구독을 해외 시장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이성진 LG전자 한국영업본부 이성진 구독영업담당은 “다양한 프리미엄 가전을 전문가의 관리를 받으며 사용할 수 있는 LG전자 구독 서비스가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