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자동차 조립 40% 자동화 추진
트럼프 관세 대응해 미국 생산량 70% 늘려 연간 120만대 체제 구축
트럼프 관세 대응해 미국 생산량 70% 늘려 연간 120만대 체제 구축
이미지 확대보기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 3일(현지시각) 현대자동차그룹이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에 '아틀라스' 로봇을 배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현대자동차가 인수한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개발한 이 로봇은 두 발로 서서 사람처럼 팔을 구부리고 뻗을 수 있다.
아틀라스 로봇은 무거운 물체 들기와 차량 도어 설치 등 여러 작업을 사람 대신 수행한다. 메타플랜트는 또한 부품 조립과 운반을 위한 기존 로봇과 함께 개 형태 로봇을 활용해 생산라인과 차체를 점검할 계획이다.
자동차 조립 공정은 자동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작업으로 여겨져 왔으나, 현대자동차는 이 비율을 50%에 가깝게 끌어올릴 계획이다. 프레스, 용접 등 다른 공정도 자동화된다.
메타플랜트는 처음에 해마다 10만대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을 생산하며, 궁극적으로는 생산량을 해마다 50만대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현대자동차는 앨라배마 공장의 생산능력도 확대할 계획이다. 회사는 미국 내 연간 생산능력을 2024년 예상 생산량인 약 70만대에서 70% 늘린 120만대로 키울 예정이다.
북미는 현대자동차의 가장 큰 시장이다. 지난해 현대자동차의 세계 판매량은 703만대로 전년보다 2% 줄었지만, 북미 판매량은 4% 늘어난 190만대를 기록했다.
현대자동차는 북미 시장에서의 강세 덕분에 지난해 연결 매출액 기록을 새로 썼다. 회사는 미국에서 중형차가 3만 달러 미만에 팔리는 등 가격 경쟁력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다만 현대자동차의 미국 판매량 상당 부분은 한국에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회사는 여전히 트럼프의 관세 영향을 받는다.
이에 시장에서는 소비자들이 가격이 너무 빨리 오르면 떠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현대자동차의 호세 무노즈 사장은 지난 4월 오는 6월까지는 가격을 올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특징주] 영원무역, 7.27% 급등 52주 신고가...NH투자증권 "목표...](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484205141edf69f862c118235146.jpg)
![[KRX 금현물] 3거래일 연속 하락…1g당 19만800원 마감](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051909874edf69f862c1182351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