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협상이 아닌 방식으로 각국에 20~30% 관세율 일괄 부과 방침…10개국 단위로 순차적으로 통보 계획 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부분의 국가와 개별적인 무역협상을 맺는 대신에 정해진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5일(현지시각)부터 국가별 관세율을 명시한 서한 발송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4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이오와주 유세를 떠나기 전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170개국이 넘는데 과연 몇 개의 협정을 체결할 수 있겠느냐”며 “협정은 훨씬 더 복잡하다”고 말했다.
그는 개별 협상이 아닌 방식으로 각국에 20~30% 수준의 관세율을 일괄 통보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며 “10개국 단위로 순차적으로 통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지난 2일 베트남과 맺은 무역협정과 같은 몇 건의 개별 협상은 예외적으로 진행하되 대부분의 국가에는 “간단하고 명확한 관세율”을 부과하겠다고 강조했다. 베트남과 협정에서는 미국이 베트남산 수입품에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던 46% 관세를 20%로 낮추고 베트남은 미국산 제품의 무관세 수입을 확대하기로 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블룸버그TV에 출연해 “약 100개국이 10%의 상호 관세율을 적용받게 될 것”이라며 “7월 9일 이전에 많은 협정이 몰려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정부가 처음 발표한 10% 관세 적용 대상은 123개 국가·지역이었으나, 이번 조치로 다소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개별 협상을 진행한 영국은 10% 관세율을 유지하는 대신, 자동차·항공엔진 등 일부 분야에서 우대조치를 받기로 했다. 반면 유럽연합(EU)은 20%, 인도는 26%, 일본은 24%의 관세를 통보받았고, 레소토(50%), 마다가스카르(47%), 태국(36%) 등 협상에 응하지 않은 국가들은 훨씬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전 세계 국가에 10~50%의 상호 관세율 적용 계획을 발표하면서 시장을 혼란에 빠뜨린 바 있다. 이후 대부분 국가에 10%로 일시 조정하며 7월 9일까지 협상 유예기간을 부여했으나 여전히 대부분 국가는 협상에 나서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와 장기 협정을 맺는 것은 시간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라며 “단순화된 방식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