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그룹, '제3회 HLB포럼' 개최…신약과 사업방향성 공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타 간암치료제보다 효과 좋아
HLB제넥스·뉴로토브·펩, 사업 현황과 파트너십 가능성 발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타 간암치료제보다 효과 좋아
HLB제넥스·뉴로토브·펩, 사업 현황과 파트너십 가능성 발표

HLB그룹은 22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소피텔 앰배서던 서울 호텔에서 '제3회 HLB포럼'을 개최했다. 이 행사는 HLB그룹 내 계열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그룹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다.
이번 포럼은 '2025 도약, 2030 비상: HLB의 미래를 그리다'를 주제로 그룹의 성장을 이끈 핵심 파이프라인과 미래를 위한 전략 파이프라인 개발 현황을 공유했다. 또한 오는 2030년 비상을 위하 진단-예방-치료의 주요 사업 계획과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전략을 집중 조명했다.
개회사에서 진 회장은 "Human Life Better, 인류의 삶을 조금이라도 더 낫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는 철학 아래 바이오 분야에서는 항암제를 중심으로 치료제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며 "최근 HLB는 간암 신약인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의 상업화와 담관암 신약 '리라푸그라티닙'의 막바지 임상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HLB는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으로 미국의 문을 두드렸지만 2번 연속 실패로 돌아갔다. 이로 인해 신약 개발 능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데 이같은 상황은 도전과 좌절의 과정이며 나중에는 결과가 증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조선소 소규모 식장에 불과했던 작은 회사가내년 글로벌 신약 3개 이상 출시할 기대를 가진 회사가 됐다"며 "HLB가 보여줄 밝고 힘찬 미래 를 관심과 애정으로 지켜봐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엘레바 테라퓨틱스의 정세호 대표가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의 효과와 가능성을 설명했다. 엘레바 테라퓨틱스는 HLB의 미국 자회사로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담당하고 있다.
정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지난 2022년 기준 간암 발병 환자는 87만명이었으며 사망자는 76만명으로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가장 높았으며 미국과 인도, 우리나라도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정 대표는 강조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다수의 간암 치료제가 출시됐지만 전체 생존률 중앙값(mOS)이 높지 않았다. 가장 최근 출시된 치료제의 경우 mOS는 23.7개월을 기록했지만 실제로 사망률 감소효과는 0.79로 실제 mOS는 높지 않은 것이라고 정 대표는 설명했다.
반면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의 경우 mOS는 23.8개월로 최근 출시된 치료제보다 조금 높았고 사망률 감소효과는 0.67로 유의미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미래먹거리 개발 3사 간담회 진행
이날 HLB그룹의 미래 성장을 이끌 핵심 계열사인 HLB제넥스와 HLB뉴로토브, HLB펩의 기술경쟁력과 전략적 방향성도 소개됐다.
김도연 HLB제넥스 대표는 HLB제넥스가 카탈라이제와 락티아제 등 산업용 특수 효소르 빠르게 개발하고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 가능한 플랫폼 기술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을 통해 글로벌 반도체 및 유제품 기업들에 공급하고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김도연 대표는 제품의 안정적 매출 성장과 함께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 진당용 효소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그룹 계열사와의 기술 연계를 통해 B2C 사업을 강화해 지속 가능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김대수 HLB뉴로토브 대표는 자사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근긴장이상증 치료제 'NT-1'과 파킨슨병 치료제 'NT-3'의 경쟁력을 설명했다.
김대수 대표는 "NT-1을 통해 기존 치료제가 거의 없는 근긴장이상증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기전을 제시하고 미충족 수요가 큰 희귀 신경질환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며 "NT-3는 파킨슨병의 증상 개선과 세포 사멸을 동시에 겨냥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치료제로 중기, 말기 호나자까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혁신 신약 후보 물질로 평가 받고 있다"고 말했다.
홈페이지에는 올해 안에 NT-1이 기술이전을 할 것이라고 게재했지만 이는 딜레이되는 상황이라고 김대수 대표는 설명했다. 다만 진행중인 임상이 오는 8월 끝나고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술대회에서 발표하면서 기술수출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심경재 HLB펩 대표는 "HLB펩은 5000여 종의 펩타이드 라이브러리와 독보적인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원료의약품(API), 위탁개발생산(CDMO), 화장품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이어 비만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과 궤양성 대장염 등 신약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글로벌 cGMP 인증 확보와 고부가가치 신약 개발을 통해 펩아티드 기반 신약 개발을 통해 펩타이드 기반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HLB펩은 연이은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신약과 화장품까지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 하지만 HLB펩은 이미 연구개발비용이 40%를 넘어서기 때문에 더 이상의 투자는 회사 재무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대해 심 대표는 "유동성은 충분히 확보한 상태이기 때문에 문제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이번 HLB포럼은 이날과 23일 양일간 진행된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