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신성 뜻, 죽어가기 전 '마지막 단계'에 이른 별의 '폭발'

글로벌이코노믹

초신성 뜻, 죽어가기 전 '마지막 단계'에 이른 별의 '폭발'

이미지 확대보기
초신성이란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이른 별이 폭발하면서 생기는 엄청난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방출하여 그 밝기가 평소의 수억 배에 이르렀다가 서서히 낮아지는 별이다.

최초의 초신성은 185년에 중국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관측된 것이다. 1006년에 관측된 초신성은 지금까지 가장 밝았던 초신성으로 추정되며 중국과 이슬람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자세히 기록됐다.

1572년과 1604년에 관측된 초신성들은 유럽에서 천문학 발전에 큰 역할을 하기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달과 행성 너머의 하늘은 절대 변화가 없는 곳이라고 주장했는데, 갈릴레오는 이 초신성들을 그 주장에 대한 반박의 근거로 사용했다.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었던 가장 최근의 초신성은 1987년에 우리 은하의 동반 은하인 대마젤란은하에서 나타난 초신성이다. 남반구 쪽 하늘이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가 없었다.
2000년대에 들어 자동망원경과 CCD 카메라가 보편화되면서 매년 수백 개의 초신성이 발견되고 있다. 초신성 관측은 최근에 특히 우주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면서 더욱 활발한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초신성은 태양 질량의 9배 이상의 별이 진화의 최종 단계에서 중력에 의한 붕괴로 폭발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초신성의 밝기는 별의 질량에 따라 달라진다.
박효진 기자 phj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