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5.7%…석 달만에 오름세 전환
전기·가스요금 인상 효과…당분간 5%대 고물가 예상
전기·가스요금 인상 효과…당분간 5%대 고물가 예상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2020=100)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7% 상승했다. 지난 7월 6.3%로 24년 만에 최고치를 찍은 소비자물가는 8월 5.7%, 9월 5.6%로 하락세로 접어 들었다가 지난달 서비스, 공업제품, 전기·가스·수도, 농축수산물이 모두 상승하며 다시 오름세를 보였다.
지난달 물가 상승을 견인한 것은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이다. 실제 전기·가스·수도는 전년 동월 대비 23.1% 상승하며 통계작성이 시작된 2010년 1월 후 가장 높았다. 이는 전기·가스요금이 동시에 인상된 효과다. 지난달부터 가정용 전기요금은 5%, 도시가스 요금은 16%씩 올랐다.
요금 인상 영향으로 도시가스(36.2)%, 전기료(18.7%), 지역난방비(34.0%) 등은 두자릿수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에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9월 0.48%포인트에서 10월 0.77%포인트로 확대됐다.
앞서 정부도 공공요금 인상 여파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을 예상했다. 지난달 정부는 전기·가스 요금 인상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포인트 더 오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석유류는 지난달 전년 대비 10.7% 오르며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다. 석유류는 지난 6월 39.6%까지 치솟은 뒤로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석유류 상승률이 주춤하자 공업제품 상승률도 꺾이고 있다. 지난달 공업제품 상승률은 6.3%로 올 3월 6.9%까지 찍은 뒤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외 가공식품은 9.5%, 농축수산물은 5.2% 올랐다. 농축수산물 가운데 농산물은 7.3% 오르며 전월(8.7%)보다 둔화했지만 채소류는 21.6%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배추(72.3%), 무(118.1%), 토마토(29.5%) 등이 큰 폭으로 오른 영향이다.
수산물은 6.5%로 전월(4.5%)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축산물은 1.8% 올랐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전월(6.4%)과 같은 6.4%로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외식이 8.9%, 외식외 개인서비스가 4.6% 각각 올랐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농축수산물 가격은 오름세가 둔화했지만, 전기·수도·가스의 오름세가 확대되며 상승 폭이 확대됐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물가 상승률이) 6%대로 올라가지는 않으리라고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7월이) 정점일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당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를 기록, 고물가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향후 물가 전망경로 상 불확실성이 크다"면서 "국내외 경기하방 압력 증대 등은 하방리스크로, 고환율 지속과 주요 산유국의 감산 규모 확대 등은 상방리스크로 잠재해있다"고 관측했다.
송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sy12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