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물가지수 0.4%↑…수출물가지수도 0.1% 상승
시차 두고 국내 물가 자극 가능성
시차 두고 국내 물가 자극 가능성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7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지수는 130.44(2015=100)로 전월 대비 0.4% 올랐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5% 떨어졌다.
수입물가는 5월(-3.1%) 4개월 만에 하락 전환한 뒤 6월(-3.9%)까지 2개월 연속 내렸다. 하지만 지난달 국제유가가 빠르게 반등하면서 다시 상승 전환했다.
7월 평균 두바이유는 배럴당 80.45달러로 6월(74.99달러)보다 7.3% 올랐다.
국제유가가 치솟으면서 광산품과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의 가격이 덩달아 오르며 수입물가가 상승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수입물가를 세부 품목별로 살펴보면 원유(6.4%↑), 벙커시유(2.3↑), 나프타(1.9%↑), 산업용액체펌프(2.2%↑), 증류기·가스발생기(1.1%↑), 위스키(5.8%↑) 등이 한 달 전보다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커피(5.3%↓), 화학첨가제(7%↓), 메탄올(5.6%↓), 기타귀금속정련품(11.6%↓) 등은 가격이 내렸다.
수입물가가 오르면서 하향 안정세를 보이는 소비자물가를 다시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유성욱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 팀장은 "수입물가는 대략 1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면서 "(소비자물가에) 일부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국제유가는 지정학적 요인으로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8월 수입물가를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7월 수출물가지수는 122.81로 전월 대비 0.1% 올랐다. 수출물가지수는 역시 5월(-1.5%)과 6월(-3.2%) 두 달 연속 하락하다가 7월 상승 전환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2.8% 하락하며 7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유 팀장은 "7월 수출물가는 석유제품 가격 등이 오르며 상승했다"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석유제품 가격이 내리고 반도체 중심으로 정보기술(IT) 제품 가격도 하락하면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전월 대비 과일(17.1%↑), 경유(9.7%↑), 휘발유(6.6%↑) 등이 많이 오른 반면, D램(1.8%↓), 시스템반도체(2.4%↓), 폴리에틸렌수지(2.0%↓), 평판디스플레이제조장비(1.6%↓) 등은 하락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