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기후변화 대응 안하면 금융기관 45조 손실"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기후변화 대응 안하면 금융기관 45조 손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한국은행-금융감독원 공동 기후금융 콘퍼런스'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한국은행-금융감독원 공동 기후금융 콘퍼런스'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고 손놓고 있을 경우 은행과 보험사 등 금융기관들의 손실이 46조원에 달할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18일 '한국은행-금융감독원 공동 기후 금융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은행·보험사에 대한 하향식(Top-down) 기후변화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국내 최초로 한은과 금감원, 기상청, 14개 금융사가 협력해 기후 리스크가 실물경제 및 금융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금융권의 기후 리스크 관리 방안을 제시한 결과물이다.

한은은 기후 대응정책 도입 강도, 정책 도입시기 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1.5℃ 대응 △2℃ 대응 △지연대응 △무대응 등 대응 강도에 따라 총 4개의 시나리오로 나눠 분석했다.
1.5℃ 대응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가정했고, 2℃ 대응은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현재 대비 80% 감축을 전제했다. 지연대응은 2030년까지 무대응하다 2050년 '넷제로' 정책 추진이다.

금융기관 손실 규모는 대응 강도가 낮을 수록 커졌다.

1.5℃, 2℃ 대응의 경우, 금융권(은행 7개사, 보험 7개사 기준) 예상손실 규모는 각각 26조9000억 원, 27조3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지연대응은 금융권 예상손실 규모가 39조9000억 원까지 급증했다. 무대응 시에는 물리적 리스크(고온·강수 피해 증가 등)의 영향이 확대되며 금융권 예상손실 규모가 45조7000억 원까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시나리오별로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이 5.3~7.6%포인트(p)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험회사도 한국형 지급여력제도(K-ICS) 비율은 13.6~26.1%p 하락할 수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보험회사의 경우 신용 위험 노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기후 리스크로 인한 자본 적정성 저하는 은행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김재윤 한은 지속가능성장실 기후리스크분석팀 과장은 "은행들은 기후 리스크가 현재화되는 경우 신용손실로 인해 국제결제은행(BIS) 자본비율이 규제 비율(11.5%)을 하회할 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면서 "기후 리스크는 은행·보험사의 주요 잠재손실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기후변화협약 탈퇴를 계기로 글로벌 탄소감축 노력이 위축되면 자연재해가 더 빈번하고 강하게 발생해 금융기관의 자본비율 하방 압력이 증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한은은 이날 오후 금감원과 공동으로 기후금융 콘퍼런스를 열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컨퍼런스 환영사에서 "기후변화는 한은의 물가관리에도 상당한 부담이 된다"며 "기후변화 대응은 정부와 기업, 금융기관, 가계가 함께 해결해야 할 시급한 범국가적 과제"라고 밝혔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