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은행권 총파업 가능성 고조
자동차·조선 잇단 파업에 美관세 대응 차질
자동차·조선 잇단 파업에 美관세 대응 차질

노란봉투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노조가 이를 동력으로 활용해 사측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이재명 정부 주요 공약인 주 4.5일제 추진이 노동자를 자극해 금융노조 투쟁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지난 1일 실시한 전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서 94.98% 찬성률로 쟁의권을 확보하면서 오는 26일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예고대로 총파업이 이뤄지면 2022년 이후 3년 만에 은행권 파업이 벌어진다. 하지만 산별 중앙교섭이 진행 중인 만큼 합의가 이뤄지면 실제 파업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금융노조는 지난해에도 출근시간을 30분 늦추자는 영업시간 조정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예고했지만 막판 합의로 철회한 바 있다.
다만 평균 연봉 1억 원에 이르는 은행원들의 근무시간 단축을 위한 파업이라는 점에서 일반 국민들의 공감대를 얻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시중은행의 1인당 근로소득은 1억1490만 원이었다.
금융감독원 집계에 따르면 2022년 9월 16일 총파업 당시 은행권 파업 참가자 수는 9807명으로 전체 직원 대비 파업 참가율이 9.4%에 그쳤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 파업 참가율은 0.8%에 불과했다.
임금 인상 외에 영업점 폐쇄 금지, 주 4.5일제, 정년 65세로 연장과 같은 국민 눈높이와 동떨어진 주장을 내놓으면서 여론이 싸늘하자 소속 은행 조합원들도 파업 참여를 꺼렸던 것으로 해석된다.
올해 역시 금융노조가 실제로 파업을 진행했을 때 '명분 없는 파업'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금융노조도 여론전에 열을 올리고 있다. 금융노조는 오는 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16일에는 광화문 광장에서 주 4.5일제 실현을 위한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편 산업계에도 파업 도미노가 확산되고 있다. 현대차와 한국GM은 물론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 등 HD현대 조선 3사가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난항을 이유로 부분 파업에 돌입했거나 돌입한다. 자동차 업계의 미국발 관세 대응과 한·미 조선업 지원 사업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 차질까지 예상되고 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