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배타적 사용권 ‘전장’ 된 손보 신상품…치매·펫보험 격전

글로벌이코노믹

배타적 사용권 ‘전장’ 된 손보 신상품…치매·펫보험 격전

車보험 정체 속 차별화…생활밀착형 시장 선점
손해보험사들이 ‘배타적 사용권’ 확보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자료=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손해보험사들이 ‘배타적 사용권’ 확보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자료=연합뉴스
손해보험사들이 신상품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배타적 사용권’ 확보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일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손해보험사들의 배타적 사용권 신청 건수는 총 3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건)보다 138% 급증했다. 이미 지난해 전체(26건)와 2023년(19건)을 모두 넘어섰으며, 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역대 최대치였던 2022년(36건)을 뛰어넘을 전망이다.

이는 자동차보험 등 기존 주력 상품의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차별화된 신상품을 통한 시장 돌파구 찾기가 절실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치매나 반려동물보험 등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특화 상품에서 경쟁이 치열하다.

KB손해보험은 지난 1월 치매 중증도를 평가하는 CDR 척도 검사 비용을 보장하는 담보를 업계 최초로 선보여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했다. 흥국화재는 9월 치매 환자의 실종으로 보호자에게 발생하는 경제적 피해를 보장하는 특약을 출시해 6개월간 배타적 사용권을 받았다.
반려동물 관련 보장도 확대되고 있다. DB손해보험은 반려견 물림 사고 시 견주의 벌금을 보장하는 상품과 행동교정 훈련 비용을 보장하는 상품을 잇달아 내놓으며 각각 6개월과 9개월간 배타적 사용권을 확보했다.

생활 밀착형 보장도 눈에 띈다. 삼성화재는 수도권 지하철이 30분 이상 지연될 때 택시·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 이용비를 최대 3만원까지 보장하는 상품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손보협회 관계자는 “보험사들의 배타적 사용권 신청이 꾸준히 늘고 있다”며 “고령화, 반려동물, 생활환경 변화 등 소비자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