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밤이 가장 긴 날' 동지(冬至), 붉은 팥죽 먹는 이유?

글로벌이코노믹

'밤이 가장 긴 날' 동지(冬至), 붉은 팥죽 먹는 이유?

▲동짓날에는붉은팥죽을먹는다.옛날부터이날팥죽을쑤어조상께제사지내고대문이나벽에뿌려귀신을쫓아새해의무사인일을빌던풍습에서남아있는절식이다./사진=글로벌이코노믹DB이미지 확대보기
▲동짓날에는붉은팥죽을먹는다.옛날부터이날팥죽을쑤어조상께제사지내고대문이나벽에뿌려귀신을쫓아새해의무사인일을빌던풍습에서남아있는절식이다./사진=글로벌이코노믹DB
12월 22일은 24절후의 스물두 번째 절기로,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지(冬至)는 태양이 적도 이남 23.5도의 동지선(남괴귀선) 곧 황경(黃經) 27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며,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에 든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 불렀다.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 하는 것이다. 이 관념은 오늘날에도 여전해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처럼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으로 전하고 있다.

또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 가는 날' 이라고도 부른다.
동짓날에는 붉은 팥죽을 먹는다. 옛날부터 이날 팥죽을 쑤어 조상께 제사 지내고 대문이나 벽에 뿌려 귀신을 쫓아 새해의 무사안일을 빌던 풍습에서 남아있는 절식이다.

동지팥죽은 새알심을 넣어 끓이는데 가족의 나이 수대로 넣어 끓이는 풍습도 있다. 그래서 팥죽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다.

동지는 해가 가장 짧은 날이라 음(陰)이 극에 달한 날이어서 음성인 귀신이 성하는 날이다. 이를 물리치기 위해 상대적인 양(陽)의 기운을 요구하게 된다. 그래서 양을 상징하는 붉은 팥죽이 음의 기운을 물리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고대인들은 붉은 색이 주술적인 위력을 지닌 것으로 믿었다. 그래서 태양, 불, 피 같은 붉은 색을 생명과 힘의 표식으로 삼았고 이를 숭상한 것이다. 따라서 동지는 태양이 죽음에서 부활하는 날로 여겼기 때문에 고대인들의 적색 신앙의 잔영으로 붉은 색의 팥죽을 쑤게 된 것이다.

『해동죽지(海東竹枝)』에 “붉은 팥으로 집집마다 죽을 쑤어 문에 뿌려 부적을 대신한다. 오늘 아침에 비린내 나는 산귀신을 모두 쫓으니 동지에 양기 나면 길한 상서 맞는다.”라는 시에서 보듯이 붉은 팥죽의 벽사성을 알 수 있다.

동짓날 팥죽은 조상께 제사 지내고 방, 마루, 광, 헛간, 우물, 장독대에 한 그릇씩 놓는다. 또 들고 다니며 대문이나 벽에 뿌리면 귀신을 쫓고 재앙을 면할 수 있다고 믿었다.

고조리서인 『규합총서(閨閤叢書)』, 『군학회등(群學會騰)』, 『부인필지(婦人必知)』 등에 구체적인 조리법이 기록되어 있고, 그것들이 오늘날까지도 이어져오고 있다.

먼저 붉은 팥을 씻어 일어서 물을 충분히 붓고 한소끔 끓인다. 그 물을 버리고 새 물을 다시 부어 팥이 터질 때까지 푹 삶아서 거르고, 찹쌀가루는 익반죽하여 새알 모양의 단자를 만든다. 이를 새알심이라고 한다.

거른 팥의 웃물을 먼저 붓고 끓여 빛깔이 고와지면 앙금을 넣어 저으면서 다시 끓인다. 펄펄 끓을 때 새알심을 넣는데 새알심이 떠오르고 짙은 팥색이 되면서 걸쭉해지면 소금으로 간을 하여 불에서 내려놓는다. 식성에 따라 설탕을 넣어 먹기도 한다.

팥에는 비타민 B1을 비롯해 니코틴산·칼슘·인·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팥은 적은 양을 먹어도 포만감이 높아 최근 다이어트 음식으로도 인기다.

또한 팥 껍질은 사포닌·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다. 사포닌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심장병 예방에 도움이 되고, 안토시아닌은 이뇨작용으로 체내에 불필요한 수분과 활성산소를 없애 노화 방지에 탁월하다.

/글로벌 이코노믹 장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