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 "양국 관계와 상호 관심사 다룰 매우 중요한 회담"
승리 퍼레이드 이후 진행…전략적 소통 강화·협력 심화 논의 예상
승리 퍼레이드 이후 진행…전략적 소통 강화·협력 심화 논의 예상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회담이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회담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다.
궈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중국은 북한과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며 통치 경험 공유를 심화하고, 각자의 사회주의 사업과 중국과 북한 간 전통적인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은 김정은 위원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참석한 3일 베이징 군사 퍼레이드 이후에 이뤄진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80주년을 기념하는 이 대규모 행사에서 김정은과 푸틴은 시진핑과 함께 걷고 대화하는 모습이 목격됐다.
김정은의 이번 베이징 방문은 다른 세계 지도자들과 함께하는 외교 행사에 처음 참석한 것으로, 분석가들은 이를 북한이 중국·러시아와 점점 더 긴밀한 동맹을 맺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중국과 북한은 전통적인 혈맹 관계를 유지해 왔지만, 북한의 핵개발 문제를 둘러싸고 때때로 긴장 관계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양국 관계는 다시 밀접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중국·러시아·북한 간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들 3국은 모두 미국과 서방의 제재나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시진핑과 김정은의 이번 회담에서는 양국 간 경제협력 확대, 북한 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 그리고 변화하는 국제정세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북한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자 경제적 생명줄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유엔 제재하에서도 중국은 북한과의 교역을 지속하며 북한 경제를 뒷받침해왔다.
궈 대변인이 언급한 "통치 경험 공유"는 양국이 모두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경제 운영 노하우를 교환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번 회담은 또한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 출범과 함께 변화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중국과 북한이 어떤 전략적 협력을 모색할 것인지 관심을 끌고 있다.
한편 북한 매체들은 김정은의 이번 베이징 방문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중국과의 전통적 우정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북한이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