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금융권 긴장감 고조
파업정국 타협 성사될지 주목
파업정국 타협 성사될지 주목

이와관련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통령실에서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과 오찬하고 대통령 직속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 양대 노총이 적극 참여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치권과 산업계 등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과 오찬을 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국회가 주도하는 노사정 사회적 대화 기구에 민주노총이 참여하기로 한 점을 거론했다. 또 향후 대통령 직속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도 양대 노총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도 함께 했으며, 최근 국회를 통과한 '노란봉투법'을 비롯해 산업재해 근절 대책, 임금체불 해소 방안 등 노동계 현안이 광범위하게 논의됐다.
산업계 연쇄 파업, 긴장감 지속
최근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한국GM, HD현대중공업 3사 등 주요 제조업체에서 파업이 이어지며 추석을 앞둔 가을 들판을 ‘추투(秋鬪)’ 분위기로 물들였다. 자동차·조선 등 노동자들은 임금인상, 근무환경 개선, 고용안정 등 현안과 함께 미래 일자리 불안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번 파업은 단순한 노사 갈등을 넘어 산업구조 재편, 글로벌 경쟁력 위기, 지역경제 영향까지 연결된다는 점에서 사회적 파장도 적지 않다.
금융노조, 9월말 총파업 결의
산업계 파업에 이어 금융노조 역시 강경 행동에 돌입한다. 시중은행·산업은행·금융공기업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조는 오는 26일 전면 총파업을 예고했다. 94.98%의 압도적인 찬성률로 쟁의권을 확보하며, 3일과 16일 결의대회를 거쳐 26일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핵심 요구는 주 4.5일제 도입, 임금 5% 인상, 신규 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 근로조건 개선 전반에 걸친 것이다.
파업 현실화 시 사회적 충격 불가피
이번 파업에는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과 정책금융기관, 신용보증기금, 자산관리공사(캠코) 등이 포함된다. 은행 창구 마비, 금융서비스 중단 등 국민 생활 전반에 직접적 불편과 리스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금융권과 고객 모두 극도의 긴장 속에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한편 일부 소비자들은 금융노조의 요구가 고임금·단축근무 등 특권으로 비춰질 수 있다고 비판하며, 사회적 여론도 복합적으로 엇갈리고 있다.
금융노조의 주 4.5일제 도입 요구는 근로자 삶의 질 개선, 저출생 해소, 지방경제 활성화 같은 시대적 과제와 맞물려 있으나, 한편으로는 성장동력 약화와 금융산업 경쟁력 하락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대형 시중은행은 지난해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어섰으며, 은행의 순이익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만큼 사회적 공감과 정책적 타협이 절실하다.
임광복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