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계량기검정, 담배·통신판매업 신고 등 지역산업 관련 행정업무는 각 구청에서 일괄 처리하며, 특히 직업소개소 등록·변경·폐업 신고도 구청에서 직접 처리 가능해져 주민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구청 전환 전까지 충분한 안내를 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농업 분야 역시 농약, 비료, 종자, 원산지표시 등 주요 업무가 시청에서 구청으로 이관된다. 이에 따라 농업인은 시청을 방문하지 않고도 거주지 인근 구청에서 관련 민원을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시는 일반구 체제 전환에 따라 변모할 통행 패턴에 대응하기 위해 임시청사와 연계된 대중교통망 개선도 추진한다. 도시 지역인 병점구·동탄구는 기존 노선을 유지·보완하고, 대중교통망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만세구·효행구는 신규 노선 도입과 운행 횟수 증대 방안을 마련 중이다.
특히 남양읍, 조암, 비봉, 매송, 정남 등지의 구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선 조정과 운행 대수 확대를 검토하고 있으며, 향후 수요 예측·예산 확보·운송업체 선정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행정은 시민 가까이 있어야 한다. 일반구 체제는 바로 그 원칙을 실현하는 출발점”이라며 “교통과 생활행정 전반에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이지은 이형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uk15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