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OECD 최고 자살률, 해법 찾는다…대만·덴마크·한국 한자리에

글로벌이코노믹

OECD 최고 자살률, 해법 찾는다…대만·덴마크·한국 한자리에

(왼쪽부터) 백종우 경희대 교수, 류혜원 마인드풀커넥트 대표, 정선재 연세대 교수, 김대선 한국종교인연대 대표, 임호선 국회의원, 홍원학 삼성생명 대표, 김철주 생명보험협회 회장, 김종화 모범운전자회 회장, 김태선 국회의원, 김교흥 국회의원, 양두석 안실련 자살예방 센터장, 정점식 국회의원, 포럼참석시민1, 강호인 안실련 대표, 하상훈 생명의전화 원장, 한지아 국회의원, 조성철 생명연대 대표, 임삼진 생명존중시민회의 상임이사, Mr.Mads Fribora덴마크대사관 참사관, Dr.Shih-Cheng Liao 대만대 교수, 길지원 녹색어머니중앙회 회장, 포럼참석시민2, 포럼참석시민3. 사진=생명보험협회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 백종우 경희대 교수, 류혜원 마인드풀커넥트 대표, 정선재 연세대 교수, 김대선 한국종교인연대 대표, 임호선 국회의원, 홍원학 삼성생명 대표, 김철주 생명보험협회 회장, 김종화 모범운전자회 회장, 김태선 국회의원, 김교흥 국회의원, 양두석 안실련 자살예방 센터장, 정점식 국회의원, 포럼참석시민1, 강호인 안실련 대표, 하상훈 생명의전화 원장, 한지아 국회의원, 조성철 생명연대 대표, 임삼진 생명존중시민회의 상임이사, Mr.Mads Fribora덴마크대사관 참사관, Dr.Shih-Cheng Liao 대만대 교수, 길지원 녹색어머니중앙회 회장, 포럼참석시민2, 포럼참석시민3. 사진=생명보험협회 제공
국회자살예방포럼(공동대표 김교흥·정점식 의원)은 2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2025 제8회 국회자살예방포럼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자살예방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주제로 각국 전문가와 시민단체, 청년 참여자들이 자살예방 정책과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첫 발표자로 나선 랴오시청 대만 국립대 교수는 2006년 자살률 급등을 계기로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 체계와 국가 자살통계 인프라를 구축하고, 2019년 「자살예방법」 제정을 통해 사후관리, 유해물질 접근 제한, 언론 보도 가이드라인 등을 법제화했다고 소개했다.

덴마크 주재 매즈 프리보르 참사관은 1980년대 세계 최고 수준이던 자살률을 크게 낮춘 경험을 설명하면서도, 여전히 정신질환 퇴원 환자의 높은 자살률이 과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2024년 수립된 국가 자살예방 행동계획을 통해 클리닉 확대, 퇴원 환자 사후관리 강화, 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 당사자 경험자 참여 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연세대 정선재 교수는 한국의 자살률이 OECD 최고 수준임을 지적하며 고령층·청년 여성 등 고위험군 문제, 지역 격차, 낙인, 예산 부족 등 한계를 짚었다. 근거 기반 정책과 지역사회 참여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삼진 생명존중시민회의 상임이사는 범정부 차원의 자살대책위원회 설치 필요성을 제기하며, 지역 중심 예방과 고위험군 지원을 통한 지속 가능한 정책 추진을 촉구했다.
세미나에서는 삼성금융네트웍스와 생명의전화가 함께하는 ‘라이키 프로젝트’ 대학생 멘토와 학생이 발표에 나서 청소년 자살 예방과 정신건강 증진 활동 사례를 공유했다. 또 지난 7월 마포대교에서 자살시도자를 구조한 정선아 사회복지사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김교흥 공동대표는 “작년 한 해 자살로 생을 마감한 이가 1만4439명으로 전년 대비 461명(3.3%) 증가했다”며 “자살은 사회구조적 문제로 종합적인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점식 공동대표는 “자살은 개인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조기 개입과 체계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3기 국회자살예방포럼은 지난해 9월 2일 창립돼 여야 국회의원 27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안실련·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와 함께 정책 세미나, 입법·예산 활동, 제도 개선, 지방자치단체 실태조사 등을 이어가고 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