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7800달러 중국 전기차, 미국선 ‘그림의 떡’…청정에너지 두고 목소리 커져

글로벌이코노믹

7800달러 중국 전기차, 미국선 ‘그림의 떡’…청정에너지 두고 목소리 커져

관세·정책에 소비자 권리 가로막힌 미국 시장, ‘청정차 경쟁’ 격돌
저가 EV BYD 돌핀 미니가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전시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저가 EV BYD 돌핀 미니가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전시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에서 저가 전기차 도입을 둘러싼 논의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최근 한 전기차 매장 앞에서는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를 향한 비판 시위가 열렸고, 현장에서는 시민단체 활동가가 테슬라 사이버트럭 운전자에게 중국 BYD의 새로운 전기차에 관한 정보를 건네는 모습도 포착됐다.

지난 21(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는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중국 BYD시걸(Seagull)’과 같은 신차를 미국 소비자가 직접 타보거나 구입하기 어려운 까닭은 높은 관세, 보호무역 정책, 그리고 미·중 간 긴장"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이 같은 저가 전기차 논란은 소비자 선택권, 산업 경쟁, 정책 영향까지 여러 측면으로 번지며 논쟁의 폭을 넓히고 있다.

BYD 시걸, ‘관세 벽에 멀어진 선택…테슬라 미국산내세워


중국에서는 BYD시걸이라는 소형 전기차를 7800달러(1080만원)에 판매한다. 이 차는 한 번 충전으로 최대 405km(중국 기준)까지 주행할 수 있으며, 크기도 경차에 가까운 수준이다.

그러나 미국에서 이 차량을 수입할 경우 247.5%에 이르는 고율 관세가 적용돼, 세금만 1만9300달러(2670만원)에 이른다. 현실적으로 미국 소비자가 BYD 시걸을 시승하거나 직접 구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수입 전기차에 100% 관세를, 트럼프 전 대통령도 145% 추가 관세 방침을 강조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미국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더 좁아졌다는 평가가 시장에 퍼져 있다.

미국은 고용, 국가안보, 산업 경쟁력을 이유로 수입차 장벽을 강화하고 있지만,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이로 인해 소비자 권리가 축소되고, 친환경차 보급이나 기후 대응 역시 걸림돌이 생겼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 테슬라, 직접 고용 강조…청정에너지 공방도 계속


테슬라는 지난해 미국 내 공장(캘리포니아, 텍사스, 네바다 등지)에서만 연 70만대 전기차를 생산했다. 일론 머스크는 향후 2년 안에 이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릴 계획임을 밝혔다.

테슬라 이용자들은 머스크나 정책에 동조하진 않더라도, 테슬라가 미국인이 설계·조립하고 판매하는 차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차량 파손 시 피해가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현실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또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풍력·태양광 설비가 미관을 해친다는 논리를 강조하고, 최근에는 재생에너지 관련 세금 감면과 보조금 등 각종 지원정책 축소를 시사하면서 "재생에너지 기업 경영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업계 의견도 덧붙여졌다.

◇ 원자력·태양광, 부지와 폐기물…에너지 전환의 현실


에너지 업계 자료에 따르면, 1000메가와트 원자력 발전소에는 약 1평방마일(2.6), 같은 전력의 태양광 발전엔 8평방마일(20.7) 부지가 필요하다. 전력이 늘수록 땅 확보와 효율 문제가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사용후 핵연료, 노후 태양광 패널, 대형 배터리 처리도 여전한 숙제다. 실제로 원자력은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하면 부피를 1/5, 방사성 위험 기간을 수만 년에서 200년까지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 나온다.

워싱턴포스트는 과거 원자력 규제기관 조사관은 대통령이나 정치적 분위기와 무관하게 오직 안전과 기술 기준을 중시했으며, 앞으로도 정책 집행에서는 객관성과 원칙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업계에서는 미국의 전기차 생산이 더디게 진행되는 사이, 중국이 세계 시장을 빠르게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도 퍼지고 있다. 이처럼 친환경에너지와 전기차를 둘러싼 소비자 선택, 산업 경쟁, 환경 논쟁은 한동안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